목차 Ⅰ. 들어가며
Ⅱ. 해방 전야 정치 지도자 -김구, 이승만, 여운형, 김일성,
김두봉 1. 김구 2. 이승만 3. 여운형 4. 김일성 5. 김두봉
Ⅱ. 해방 직전 정치지도자들에 대한
논쟁 및 평가 1. 이승만, 그는 한국의 분열을 고착화시킬 목적 이었는가 2. 김구에 대한 오해와 진실 3. 김일성은 과연 독립
운동가인가? 4. 여운형, 그는 어떤 운동가였나?
Ⅳ. 마치며
참고문헌
본문 Ⅰ.
들어가며 1931년, 일제는 만주사변을 일으켜 본격적인 대륙 침략에 나선다. 일제의 만주 침략은 독립군의 항일무장투쟁에 큰 변화를
가져왔다. 만주사변이 발생하기 전까지 우리 독립군을 눈여겨보지 않던 중국은 일제에 대항하기 위해 우리 독립군과 연합할 필요성을 느끼게 된다.
그래서 1930년대부터 1945년 해방 전야 까지 내적으론 좌우 합작으로 힘을 합치려는 노력과 외적으로 중국과의 공조관계를 유지하며 조국해방을
준비해나가는 시기였다 이런 준비 과정 속에서 1945년 8월 히로시마와 나가사키에 원자폭탄이 투하되고 소련이 참전하면서 1910년 국권을
빼앗긴 이후 8.15일 마침내 일제의 강점에서 해방되었다 제2차 세계대전에서의 일본의 패전이 815광복의 표면적이고 직접적인 계기이지만
1930년대부터 1945년 해방 전야까지의 우리의 내적 정신적 노력을 간과해선 안 될 것이다. 더불어 이 시기는 1945년 민족의 해방이
독립국가로 귀결되지 못하고 분단의 아픔으로 나타나는 원인을 고찰해 볼 수 있는 시기이기도 하다 다시 말해 우리는 해방 전야의 시기를 통해 광복을
이루기 위한 우리민족의 좌우 독립운동총체를 살펴볼 수 있으며, 해방이후 정국의 모습에 관한 이해를 도울 수 있을 것이다. 우리는 대한민국
임시정부의 김구, 조선건국동맹의 여운형, 미국에서의 외교활동 중심의 이승만과 유격대 활동의 김일성과 통일전선운동의 김두봉의 다섯 명의 좌우 정치
지도자들을 살펴보고 좌우의 합작 노력과 1930년대부터 1945년까지 세계정세 속 인물별 사건과 논쟁점들을 고찰 해봤다 이들의 노력을
통해 단지 해방이 세계사의 큰 흐름 속에 부차적인 사건이 아니라 해방이라는 흐름으로 결부될 수밖에 없었던 이유를 조금이나마 알아보는 시간이
되었으면 좋겠다.
Ⅱ. 해방 전야 정치 지도자-김구,이승만,여운형,김일성,김두봉
참고- 김구과 이승만은 앞
조들의 발표와 토론에서 많이 다루었기 때문에 1930-40년대 활동을 위주로 발표문을 작성했다. 반면 우리에게 익숙하지 않은 인물들인 여운형,
김일성, 김두봉은 일대기와 활동을 중심으로 작성했다.
본문내용 김두봉 1. 김구 2.
이승만 3. 여운형 4. 김일성 5. 김두봉 Ⅱ. 해방 직전 정치지도자들에 대한 논쟁 및 평가 1. 이승만, 그는
한국의 분열을 고착화시킬 목적 이었는가 2. 김구에 대한 오해와 진실 3. 김일성은 과연 독립 운동가인가? 4. 여운형, 그는
어떤 운동가였나? Ⅳ. 마치며 참고문헌 Ⅰ. 들어가며 1931년, 일제는 만주사변을 일으켜 본격적인 대륙 침략에 나선다.
일제의 만주 침략은 독립군의 항일무장투쟁에 큰 변화를 가져왔다. 만주사변이 발생하기 전까지 우리 독립군을 눈여겨보지 않던 중국은 일제에 대항하기
위해 우리 독립군과 연합할 필요성을 느끼게 된다. 그래서 1930년대부터 1945년 해방 전야 까지 내적으론 좌우 합작으로 힘을 합치려는 노력과
외적으로 중국과의 공조관계를 유지하며 조
참고문헌 고정휴, 2004, 『이승만과 한국독립운동』, 연세대학교출판부 이정식.
2008. 「여운형 : 시대와 사상을 초월한 융화주의자」. 서울대학교출판부 이기형. 2004. 여운형 평전 . 실천문학사 여연구.
2001. 나의 아버지 여운형.김영사 신용하. 1994. 한국근대의 선구자와 민족운동. 집문당 신동진. 2010. 몽양 추모 63주년
학술심포지엄 발제문 이은희,1999, 「金日成의 抗日運動」,숙명여자대학교 신주백,1994, 「김일성의 만주항일유격운동에 대한
연구」,『역사와 현실』 12 서재진,2006, 「김일성 항일무장투쟁의 신화화 연구」,통일연구원 김태겸,1999, 「만주 항일무장투쟁과
한국전쟁에서의 김일성 : 가치 판단 이전의 사실 판단을 위하여」.『인물과 사상』 11 정병준, 2007, 「태평양전쟁기
이승만-중경임시정부의 관계와 연대강화」, 『한국사연구』137 최홍일, 2004, 「동북항일연군의 서정과 한인대원의 활동」,
『한국민족운동사연구』 41 이재봉, 2005, 『김일성은 가짜가 아니고 진짜 항일 운동가였다』, 열린전북 김삼웅. 2004.
『백범김구평전』. 시대의 창 한상도, 2002, 「화북조선독립동맹과 중국공산당」, 『역사학보』 174 한상도. 1996. 「中日戰爭
직후 협동전선운동과 全國聯合陣線協會」. 한국독립운동사연구 제10집 장수련. 2008. 「임정하 좌우파간의 합작운동」. 북한학보 제33집
2호 한상도, 2003, 「김두봉의 항일역정과 인생유전」, 『인문과학논총』 39 신형철, 2000 「해외 독립운동가들의 활동에 관한
연구」, 『論文集』21. 경성대학교 KBS. 2012. 대한민국을 움직인 사람들 : 백범 김구 2010. 「한국민족문화대백과」.
한국학중앙연구원 |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