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3년 11월 30일 토요일

학사 간호연구 임상간호사의 전문직의식수준과 이직의도와의 관계

학사 간호연구 임상간호사의 전문직의식수준과 이직의도와의 관계
졸업논문.hwp


목차
<목차>

Ⅰ. 서론

1, 연구의 필요성
2, 연구의 목적
3, 용어의 정의
4, 연구의 제한점

Ⅱ. 문헌고찰

1, 전문직 기준
2, 전문의식 척도
3, 이직
4, 이직의도

Ⅲ. 연구방법

1, 연구의 설계
2, 연구의 대상 및 자료수집방법
3, 자료 분석 방법
4, 연구 도구

Ⅳ. 연구결과

1, 응답자의 일반적 특성
2, 전문직 의식수준
3, 이직의도
4, 이직을 할 경우 이직에 대한 이유 (다중응답)
5, 이직할 계획이라면 이직후의 계획 (다중응답)
6, 일반적 특성에 따른 전문적 의식수준
7, 일반적 특성에 따른 이직의도
8, 전문직 의식수준의 이직의도와의 상관분석 및 회귀분석

Ⅴ. 결론 및 제언

1,결론
2,제언

[ 참고 문헌]
(설문지)

본문
간호사의 이직률은 조직에 심각한 문제가 존재하고 있음을 의미하는데, 단순히 새로운 간호사로 이직간호사를 대체하는 것은 바람직한 대체방법이라고 할 수 없다. 이직률을 감소시키고 유능한 간호사의 이직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우선적으로 이직요인을 파악하고 이를 근거로 한 효율적인 인사관리 방안을 모색할 필요가 있다. 국내에서 시행된 연구보고들에 의하면, 이직관련 요인 중 주요 요인으로 직무 만족이나 복리후생제도가 관련 있음을 제시하고 있다. 여러 연구에서 간호사의 직무 만족이 높을수록 이직률이 감소되고 있음을 제시하고 있듯이, 간호사의 이직률을 감소시키기 위하여, 간호 만족도를 증진시킬 수 있는 방안에 관심을 기울일 필요가 있다. (윤미숙 2002, 김혜정 2002) 간호사의 이직률에 대한 기존의 연구들은 리더십상황, 직무만족, 조직몰입, 집단 스트레스, 집단갈등과의 연관성만을 조사하였고 간호사들의 전문직 의식수준과 이직의도에 관한 연구는 부족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간호사의 전문직 의식수준과 이직 의도는 상관관계가 높다고 가정하고 이를 규명하여 신규간호사의 이직률을 낮추는데 기여하고자 한다.


참고문헌
김영미 (1994) 임상간호사의 이직의도 및 이직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 학위논문

류선주 (2006) 임상간호사의 이직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한림대학교 보건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이정희 (2002) 임상간호사의 이직의도에 관한 연구. 전북대학교 행정대학원 석사논문

김혜정 (2002) 중소병원과 대학병원 간호사의 직무 만족도와 이직의사에 관한 비교 연구.
경희대학교 행정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최송희 (1996) 임상간호사의 전문직 태도와 간호수행 정도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석사 학위 논문

김포옥 (1998) 한국공공도서관장의 전문적의식과 그 영향요인. 한국 도서관 정보학회지.

박정호, 김매자, 이선옥 (1997) 新간호학개론. 서울대학교 출판부

박종연 (1992) 한국의사의 전문직업성 추이에 관한 연구. 연세대학교 대학원 사회학과 박사학위 논문
이은숙 (2003) 중소병원 간호사의 이직 의도 영향 요인. 대전대학교 경영행정, 사회복지대학원 석사 논문
 

간호학 실습 리포트 신경외과 수두증 대상자 실습 리포트

간호학 실습 리포트 신경외과 수두증 대상자 실습 리포트
[최종리포트] 신경외과 102병동.hwp


목차
목차
-대상자 간호사정
-신체검진
-약물 조사
-임상검사 결과 분석
-의미있는 자료 분석
-검사실 견학 보고서
-간호과정
-참고문헌
-실습후기



본문
검사실 견학 보고서
Gamma-knife surgery
11월 28일 우리는 신경계 종양 환자들이 가장 많이 시술 받는 다는 감마 나이프 수술을 견학했다. 감마 나이프 실은 암 센터에 위치하고 있었고 생각보다 매우 작았다. 검사실에 들어갔더니 감마 나이프 수술 안내서에서 보았던 머리틀인 렉셀 프레임을 고정하고 대기하고 계시는 환자분이 계셨다. 이 렉셀 프레임은 환자의 종양의 크기와 위치를 확인하기 위해서라고 한다. 또한 이것은 절대 움직이지 못하게 두개골 내부 4곳에 고정시키며 리도카인으로 국소마취 시킨 후 고정시킨다고 한다.
안에는 의사선생님 한 분과 간호사 선생님 한분이 계셨고 지금은 환자의 뇌 사진을 보면서 감마 나이프 수술을 위한 치료를 계획하고 계셨다. 책상에는 몇 대의 컴퓨터가 놓여있었으며 환자의 모습이 직접 보이는 모니터와 환자의 뇌를 3D 입체 영상으로 볼 수 있는 모니터, 뇌 병변의 위치를 정확하게 좌표로 표시하는 모니터 등 다양하게 관찰 수 있었다.
우리는 감마나이프실 코디네이터인 간호사 선생님께 감마 나이프에 대한 설명을 들을 수 있었다. 감마 나이프는 다양한 뇌 병변 치료에 이용되며 포도막 흑색종이나 진행된 녹내장과 같은 안질환에도 이용된다고 하나 주로 뇌 종양 치료에 많이 이용되고 있다고 한다. 이 수술은 개두술 없이 할 수 있기 때문에 대상자에게 수술에 대한 신체적, 심리적 부담감이 적다고 한다. 그리고 두부 Shaving을 하지 않아도 되며 합병증도 적은데다 Brain 은 BBB 때문에 화학요법이 효과가 크지 않아 감마 나이프 수술을 선택하는 환자 수가 늘고 있다고 한다.
그러나 뇌의 병변을 절제하는 수술처럼 감마나이프 수술은 병변을 완전히 없애는 것이 아니라 방사선을 통해서 그 병변이 그 자리에서 더 이상 자라지 않고 다른 곳으로 전이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어서 뇌수술과는 목적에 차이가 있다고 한다.
또한 RT 와도 다른 점이 있는데 RT는 전체적으로 방사선을 조사하여 정상 세포에도 영향을 주기 때문에 부작용이 커서 작은 용량을 여러 차례에 나누어 시술을 받는다. 반면 감마 나이프는 국소 조사를 하여 병변 세포에만 조사를 할 수 있기 때문에 부작용이 적고 고용량으로 조사할 수 있으며 1번만 해도 효과가 크다고 한다.
자세한 건 본문 리포트에서.



간호 과정1
◆ 주관적 자료
-“아머리 아파 미치겠네. 머리를 찌르는
거 같아.”
-“이거 언제까지 아픈 거예요?”
-"머리가 아파서 뭘 할 수가 없어"

◆ 객관적 자료
- 대상자 진단명: Hydrocephalus
- 찡그린 표정을 계속 지음.
- 통증 척도 결과: 8점(10점 만점)이라고 대답
- ICP 측정 결과(11월 20일) = 35cmCSF
- Spinal Tap(L 3-4) 후에는 통증이 감소되고 ICP도 8cmCSF로 감소됨.
- 투약 :Diclon, Tridol, Ultracet -진통제
Dexamethasone -뇌부종 :뇌압 감소
◆ 간호진단
ICP 상승과 관련된 급성 통증
◆ 간호목표
단기목표: 대상자는 7일 이내에 ICP가 감소한다.
대상자는 7일 이내에 통증이 3이하로 감소한다고 말한다.
장기목표: 대상자는 한달이내에 통증이 없다.
대상자는 한 달 이내에 뇌압이 정상 범위를 유지한다.
◆ 간호중재
1. 두통의 양상과 유발요인, 완화요인, 악화요인을 사정한다.
2. ICP를 측정한다.
3. ICP 상승 행위를 금하도록 교육한다.
-기침, 머리 숙이기, 배변 시 힘주기 등
4. 침상 머리를 30도 올려준다: 정맥 환류량 증가
5. 처방된 진통제와 진정제를 투여하고 효과와 부작용을 모니터한다.
6. 이완요법, 전환요법을 교육 한다
7. 조용하고 안정된 환경을 제공 한다
◆ 간호수행
1,3,4,7 을 수행함.
◆ 간호평가
대상자는 진통제가 가장 효과적이라고 하였으며 지난주보다 두통의 강도는 달라지지 않았으나 두통의 빈도가 감소되었다고 말하였다.

본문내용
직업(현재, 과거) 없음
종교기독교 경제상태(상 중 하)
의학 진단명 Hydrocephalus(obstructive)
Benign Brain tumor (supratentorial)
HTN, DM, Hyperthyroism
II. 주호소
1. "머리가 아파서 아무것도 할 수가 없어" - 급성 통증
2. “혼자선 일어서질 못하겠어. 다리가 이상해 졌나봐.” - 신체 기동성 장애, 낙상의 위험,
3. “나 이러다 진짜 못 걷는 거 아니야?” - 불안
III. 현병력
대상자는 2주일 전 건망증이 심해지고 전화번호가 잘 기억이 나지 않고 방금 보았던 글이나 숫자도 잊어버리는 등 기억력 저하와 어지러운 증세를 보였고 입원 약 열흘 전 부터는 (정확한 때는 잘 기억나지 않는다고 함.)혼자서는 일어날 수 없고 걸을

참고문헌
1. 성인간호학3. 김조자 외. 2003. 현문사
2. NANDA 간호진단. 고일선 외. 2005. 엘스비어 코리아
3. 간호진단과 간호중재. 최영희.1999. 현문사
4. 간호중재. 김남초 외. 2006. 현문사.
5. 간호진단과 중재. 서울대학교 출판부
6. 임상검사와 간호. 송경애 외. 1998.수문사

하고 싶은 말
2007년 11월 수두증(뇌수종)을 대상자로 하여 실습한 결과를 정리한 최종 리포트 입니다. 한 대상자의 모든 면을 자세하게 기술하였습니다. 목차를 참고하세요.
 

모유수유 교육 모유수유 교육 자료

모유수유 교육 모유수유 교육 자료
모유수유 교육.hwp


목차
♥ 왜 모유수유가 좋다고 하죠? ♥
♥ 모유수유 이렇게 하세요 ♥
♥ 얼마나 자주 먹이나요? ♥
♥ 모유수유 자세 ♥

본문
♥ 왜 모유수유가 좋다고 하죠? ♥
1. 아기에게는 모유가 필요해요♬
- 설사, 호흡기 질환, 중이염에 잘 걸리지 않습니다.
- 알레르기 질병의 발병율이 인공 영양아 보다 적어요
- 충치발생이 적고 치아 배열의 문제를 줄일 수 있습니다.
- 영아 돌연사 증후군의 빈도도 적습니다.
- 예방접종에 대한 반응이 강화되고 질병에 대한 저항력이 증가 됩니다.
- 분유를 먹는 아이보다 지능지수가 높습니다.
2. 모유수유는 엄마에게도 이로워요♬
- 아기에게 젖을 빨리면 옥시토신이 분비되어 자궁을 수축시켜 산후출혈을 예방할 수 있습니다.
- 완전 모유수유일 경우 월경이 지연되어 피임효과가 있습니다(6개월 가량).
- 엄마의 유방암이나 난소암의 위험이 줄어 듭니다.
- 산후 우울증이 적고 산후 회복이 빠릅니다.
- 정서적 애착이 강화됩니다.
3. 경제적입니다 ♬
중략-

♥ 모유수유 이렇게 하세요 ♥
- 수유방법과 순서 -
1. 젖을 먹이기 전에 손을 깨끗이 씻고, 유방을 마사지합니다.
2. 기저귀를 확인하여 아기가 불편하지 않게해요
3. 손가락을 입에 대어 보아 배고픈 반응을 미리 확인합니다.
눈동자를 굴린다거나 입을 쩝쩝 다신다거나 손가락을 입 근처에 대어 보아 아기 입이 움찔거린다면 아기는 지금 배가 고프다는 신호!
4. 아기를 편하게 안고 아기가 엄마의 젖을 바라보는 자세에서 아기를 엄마의 유방쪽으로 데려와 밀착시킵다. (자세는 다음 장을 참고하세요~)

-중략-

본문내용

- 충치발생이 적고 치아 배열의 문제를 줄일 수 있습니다.
- 영아 돌연사 증후군의 빈도도 적습니다.
- 예방접종에 대한 반응이 강화되고 질병에 대한 저항력이 증가 됩니다.
- 분유를 먹는 아이보다 지능지수가 높습니다.
2. 모유수유는 엄마에게도 이로워요♬
- 아기에게 젖을 빨리면 옥시토신이 분비되어 자궁을 수축시켜 산후출혈을 예방할 수 있습니다.
- 완전 모유수유일 경우 월경이 지연되어 피임효과가 있습니다(6개월 가량).
- 엄마의 유방암이나 난소암의 위험이 줄어 듭니다.
- 산후 우울증이 적고 산후 회복이 빠릅니다.
- 정서적 애착이 강화됩니다.
3. 경제적입니다 ♬
♥ 모유수유 이렇게 하세요 ♥
- 수유방법과 순서 -
1. 젖을 먹이기 전에 손을 깨끗이 씻고, 유방을 마사지합니다.


하고 싶은 말
산모를 대상으로 제작한 모유수유에 대한 교육자료 입니다.
그림을 첨가하여 이해하기 쉽게 만들었습니다.
 

케이스스터디 COPD(만성폐쇄성폐질환)케이스스터디

케이스스터디 COPD(만성폐쇄성폐질환)케이스스터디
케이스스터디레포트.hwp


목차
1. 서론

2. 본론
-문헌고찰
-간호과정
-약물
-진단적검사

3. 결론

본문
I.서론
만성폐쇄성폐질환은 원인에 관계없이 장기간 기침, 담(sputum) 분비 호흡곤란을 호소하게 되는 상태를 말한다.
실습을 하면서 COPD환자를 봤는데 COPD가 호흡에 곤란이 있고, 폐에 관련된 질병이라는 것은 알았지만 질병의 병태생리, 종류와 증상, 등 기본적인 지식을 잘 몰랐었다.
COPD는 요즘에 많은 사람들이 앓고 있는 질병중의 하나인데, 만성으로 될 경우가 많은 질환 중에 하나이다. 이에 나는 장차 간호사가 되어 임상으로 나갔을 때 COPD로 인해 어려움을 겪게 되는 대상자들을 위해 증상을 완화시키고, 회복할 수 있도록 도와주기 위해 기본적인 이론과 지식을 먼저 습득해야 한다는 생각을 했다.
즉 COPD의 정의 및 증상, 원인 및 발생빈도, 의학적 치료, 진단검사, 간호사정 및 간호진단을 하는 방법을 교과서와 여러 가지 책들을 찾아보고, 인터넷 사이트에도 들어가는 등 여러 가지 방법으로 COPD에 대해 자세히 알아가면서 쓸 것이다.
이 레포트를 다 썼을 때는 COPD에 대한 기본적인 지식과 간호방법을 습득하며, 임상에서 COPD환자를 보면 간호를 할 수 있을 정도로 공부하며 이 레포트를 쓰고자 한다.
II.본론
1. 문헌 고찰
만성 폐쇄성 폐질환 (COPD )
1) 정의
- 만성호흡부전증은 대부분 만성 폐질환 즉 만성폐쇄성폐질환(chronic obstructive pulmonary disease, COPD)을 말하며 원인에 관계없이 장기간 기침, 담(sputum) 분비 호흡곤란을 호소하게 되는데 이 상태를 흔히 만성 폐질환이라 함
- 이 가운데에서 만성기관지염, 폐기종 (pulmonary emphysema) 및 기관지천식(bronchial asthma)은 원인, 증상 및 치료에 있어서 근본적으로 구분하기 어렵기 때문에 통칭해서 COPD라고 부르고 있음
2) 원인
- 정확한 원인은 알려져 있지 않으나 흡연, 만성기관지염, 폐 감염, 공기, 공해, 진폐증
- 그 외 직업으로 인해 생기는 병, 과민성인자, 유전인자, 노화, 혈관 변화 등
3) 병태생리
- 기관지 천식, 만성 기관지염, 기관지 확장증, 폐기종에서 발생하는 병리적 변화는 서로 다르지만 공통적인 것도 있음
- 감염이나 과민 반응으로 진한 기도 분비물과 팽윤된 기도 벽 그리고 불균등한 폐포의 환기가 생기는데 과대 팽창되는 폐포가 있는가 하면 어떤 폐포는 무기폐가 됨
- 흉곽운동은 감소하면 폐실질 조직은 점차 적으로 파괴되어 신충성이 감소



본문내용
곤란이 있고, 폐에 관련된 질병이라는 것은 알았지만 질병의 병태생리, 종류와 증상, 등 기본적인 지식을 잘 몰랐었다.
COPD는 요즘에 많은 사람들이 앓고 있는 질병중의 하나인데, 만성으로 될 경우가 많은 질환 중에 하나이다. 이에 나는 장차 간호사가 되어 임상으로 나갔을 때 COPD로 인해 어려움을 겪게 되는 대상자들을 위해 증상을 완화시키고, 회복할 수 있도록 도와주기 위해 기본적인 이론과 지식을 먼저 습득해야 한다는 생각을 했다.
즉 COPD의 정의 및 증상, 원인 및 발생빈도, 의학적 치료, 진단검사, 간호사정 및 간호진단을 하는 방법을 교과서와 여러 가지 책들을 찾아보고, 인터넷 사이트에도 들어가는 등 여러 가지 방법으로 COPD에 대해 자세히 알아가면서 쓸 것이다.
이 레포트를 다 썼을 때는

참고문헌
참고문헌
고금자외. (2000). 성인간호학(호흡기,순환계,혈액계). 정담미디어
서문자외. (1999). 성인간호학 총론.수문사
http://www.kimsonline.co.kr/
주용식외. (1990). 간호진단과 간호중재. 수문사
이향련외.(1990). 간호진단 프로토콜. 수문사
 

보건교육사의 이해와 운영에 대한 연구 보건교육사의 이해와 운영에 대한 연구

보건교육사의 이해와 운영에 대한 연구 보건교육사의 이해와 운영에 대한 연구
보건 교육사의 이해와 운영에 대한 연구.hwp


목차
Ⅰ. 서 론

Ⅱ. 보건교육
1. 보건교육의 개념
2. 보건교육사의 역할
3. 국내 보건교육사 제도
4. 선진외국의 보건교육사 제도
5. 우리나라 국가자격증 운영현황

Ⅲ. 보건교육사 & 보건교육사 제도
1. 보건교육사 수요 및 공급 추계
2. 보건교육의 내용
3. 보건교육사의 등급별 자격기준
4. 보건교육사 시험응시자격 취득을 위한 이수과목
5. 보건교육사 시험과목
6. 보건교육사 국가시험 관리 위탁요건

Ⅳ. 보건교육사 제도의 운영
1. 보건교육의 내용
2. 보건교육사의 등급별 자격기준
3. 보건교육사 시험응시자격 취득을 위한 이수과목
4. 보건교육사 시험과목
5. 보건교육사 국가시험 관리 위탁요건

Ⅴ. 결론



본문
보건교육사의 역할
보건교육사는 개인이나 집단, 지역사회의 건강을 보호하고 유지하기 위해 교육전략과 정책, 진행, 중재 그리고 시스템의 발전을 돕기 위한 방법을 적절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특수하게 훈련되어 다양한 역할을 수행할 수 있는 전문 인력으로 정의된다(미국 Joint committee on Health Education Terminology, 2001).
이러한 보건교육사의 역할은 시대에 따라 변천되어 왔다. Bowman(1976)에 따르면, 19세기 후반 보건교육전문가들의 역할은 강의 준비, 전시회 개최, 팸플릿 배포 등이었고, 20세기 초에 들어서면서 보건교육의 철학이 강조되며, 학습자를 학습과정에 참여시키는 교육을 실시하기 시작하였다. 또한 1960년대 이후, 보건의료법과 의료전달체계의 실시 등과 함께 정책개발, 프로그램 기획, 행정 및 감독, 상담, 교육 및 훈련, 연구 및 평가 등에서 더욱 활발하게 참여하게 되었다.
보건교육사는 항상 개인과 지역사회 보건문제를 고려하면서 일반대중을 교육시키고 보건 분야에서 다른 훈련에 의해서 효과적으로 이루어진 기능을 보정하는 것으로(Simmonds, 1976), 주요 역할은 건강증진 행위를 지도하고, 순응을 유도하며, 지식과 통찰력을 증진시키고, 건강과 관련된 의사결정에 도움을 주며, 보건인력의 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지원 및 지역사회 보건운동에 대한 지원을 하는 것으로 제시될 수 있다. 특히, 보건교육사는 환자교육과 상담과 같은 면대면(face-to-face) 개인교육에서 비롯하여 지역사회 전체의 건강능력 향상(health development)을 주도할 수 있는 지역사회 개발지도자의 역할에 이르기까지 부문별로 요구되는 역할이 다양하다(Ross et al., 1980).

가. NCHEC(2006)에서 정의한 보건교육사의 역할
미국의 보건교육사 양성과 실무에 대한 기관인 NCHEC(2006)에 의해 정의된 일반적인 보건교육사의 책임과 요구되는 능력사항은 다음과 같다(National Commission for Health Education Credentialing(NCHEC). About NCHEC: Responsibilities & Competencies).

1) 보건교육을 위한 개인과 지역사회의 요구도 사정
(Assess Individual and Community Needs for Health Education)
&#9702; 보건관련 데이터 검색 및 수집
&#9702; 안녕상태를 방해 또는 장려하는 행위 분류
&#9702; 학습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결정
&#9702; 보건교육 수행을 방해 또는 장려하는 요인 규명
&#9702; 수집된 데이터로부터 보건교육을 위해 필요한 결과 도출

2) 보건교육 전략, 중재, 프로그램 기획
(Plan Health Education Strategies, Interventions, and Programs)
&#9702; 프로그램 기획에 인력과 조직 참여
&#9702; 지역사회 조직체계와 데이터 분석 간의 조정
&#9702; 적절하고 평가 가능한 프로그램 목표 설정
&#9702; 보건교육 수행을 위한 합리적이고 지속적인 기획 개발
&#9702; 세부 목표에 부합되는 전략 및 중재방법 개발
&#9702; 목표에 맞는 중재방법 선택
&#9702; 수행에 영향을 미치는 영향요인 사정

3) 보건교육 전략, 중재, 프로그램 수행
(Implement Health Education Strategies, Interventions, and Programs)
&#9702; 실행 계획 착수
&#9702; 전략, 중재, 프로그램 구현에 있어서 다양한 기술 활용
&#9702; 연수 프로그램 수행

4) 보건교육과 관련된 평가와 연구수행
(Conduct Evaluation and Research Related to Health Education)
&#9702; 평가와 연구를 위한 계획
&#9702; 연구와 평가 과정 고찰
&#9702; 데이터 수집을 위한 조사도구 개발
&#9702; 평가와 연구 수행
&#9702; 평가와 연구로부터 도출된 결과 해석
&#9702; 향후 보건관련 사업들을 위한 고찰과 제언

5) 보건교육 전략, 중재, 프로그램 관리/행정
(Administer Health Education Strategies, Interventions, and Programs)
&#9702; 조직적 리더쉽 개발
&#9702; 물적(재정적)자원 확보
&#9702; 인적 자원 관리
&#9702; 프로그램을 위한 수락과 지지 확충

6) 보건교육 정보원으로서의 활동
(Serve as a Health Education Resource Person)
&#9702; 보건관련정보 자원들의 활용
&#9702; 보건정보 요청에 대한 응답
&#9702; 정보제공을 위한 해당자료 선정
&#9702; 자문적 리더쉽 수립

7) 건강과 보건교육을 위한 지원 및 의사소통
(Communicate and Advocate for Health and Health Education)
&#9702; 보건교육에 대한 현재와 장래의 요구도 분석과 반응
&#9702; 다양한 의사소통 방법과 기술 선택
&#9702; 보건교육 전문성 향상을 위한 개인적, 집단적 노력
&#9702; 건강증진과 관련된 건강정책에 영향


본문내용
. 우리나라 국가자격증 운영현황
Ⅲ. 보건교육사 & 보건교육사 제도
1. 보건교육사 수요 및 공급 추계
2. 보건교육의 내용
3. 보건교육사의 등급별 자격기준
4. 보건교육사 시험응시자격 취득을 위한 이수과목
5. 보건교육사 시험과목
6. 보건교육사 국가시험 관리 위탁요건
Ⅳ. 보건교육사 제도의 운영
1. 보건교육의 내용
2. 보건교육사의 등급별 자격기준
3. 보건교육사 시험응시자격 취득을 위한 이수과목
4. 보건교육사 시험과목
5. 보건교육사 국가시험 관리 위탁요건
Ⅴ. 결론
참고문헌
Ⅰ. 서 론
보건의료 환경의 변화에 따라 건강생활습관의 실천이 국민건강 확보 전략의 핵심이 되고 있으며, 이에 따라 보건교육 및 건강증진 활동에 관심이 증가하고 있다. 우리나라의 질병구조가 전염성 질환에서 만성질환으로 변화하

참고문헌
보건교육사업을 위한 보건교육사 활용방안에 관한 연구
협성대학교 ㆍ 고승덕

건강증진사업을 위한 보건교육인력 훈련 프로그램 개발과 활용방안;-보건교육사 양성과정을 중심으로
경산대학교 ㆍ 남철현

보건 교육사 양성 및 활용방안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ㆍ 남철현

지역사회 건강증진사업의 강화전략과 보건교육사의 역할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ㆍ 김영복

보건 교육사 양성 및 활용방안
한국보건교육건강증진학회 ㆍ 남철현

국민건강증진사업 활성화를 위한 보건교육사 자격인정제도 도입방안
한국보건교육학회 ㆍ 김명

보건교육사 양성 프로그램 개발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ㆍ 김초강


국민건강증진사업 활성화를 위한 보건교육사 자격인정제도 도입방안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ㆍ 김명

일본의 건강교육사 제도
한국보건교육건강증진학회 ㆍ 남은우
 

간호학, 성인간호학 간경화 ppt

간호학, 성인간호학 간경화 ppt
간경화[1].ppt


목차
정의
type
병태생리
증상
case비교
LC환자의 증상
진단검사
LC환자의 검사
약물
LC관련 간호
LC환자의 검사 예시
LC와 관련된 간호문제
LC환자의 간호중재

본문
정의
광범위한 fibrosis와 nodule 형성을 특징으로 하는 만성적이고 점진적인 질환
Liver cell이 파괴되면서 점차 scar tissue로 대치됨
주된 침범부위
portal & periportal space

병태생리
화학적 간독성 물질의 노출]
[ (carbon tetrachloride, 비소)]
[ Acute HBV ]

&#61672; Postnecrotic cirrhosis
CAH(Chronic Active Hepatitis)
지속적인 간실질 손상과 염증, 간세포의 결절과 섬유화
결절의 직경이 커지고 섬유조직은 더욱
두꺼워짐.

약물
PENNEL CAP1.00003 TP
- 급/만성 간염
*MEDILAC-DS CAP 1.0000 3 TP
- 장내균총 이상에 이한 여러 증상 개선(복부팽만, 묽은변)
*ZEFFIX TAB 1.0000 1 DP
- 만성활동성 B형 간염증 환자의 바이러스 증식 억제

LC와 관련된 간호문제
1)식욕부진과 관련된 영양부족

2) 간 기능 저하와 관련된
사고과정의 장애

3)황달 및 소양감과 관련된
피부 손상 위험성


본문내용
rtal & periportal space

Type
Laennec’s or portal cirrhosis(alcoholic, nutritional) : 미세결절 경변증
Postnecrotic cirrhosis : 괴사후성 경변증, 거대결절성 경변증
Billiary cirrhosis : 담즙성 경변증

* 발병률은 가장 낮음
* Chronic billiary tract obstruction & infection에 의해 초래된 형태
3) Billiary cirrhosis
* 주로 acute viral hepatitis로 인해 발생
* 우리나라 B hepatitis시 60-90%가 발병
2) Postnecrotic cirrhosis
* 가장 흔한 형태
* Liver cell의 necrosis가 오며 점차 s

하고 싶은 말
간경화ppt자료에요

발표수업때 준비한것인데 교수님께서 양많은걸 좋아하셔서 많이 하게 되었네요 case를 발표한거라 병태생리부터 간호진단까지 전부 포함되어있는것입니다.
 

신생아 황달 케이스 스터디 신생아 황달 케이스 스터디.

신생아 황달 케이스 스터디 신생아 황달 케이스 스터디.
Case study.hwp


목차
1.빌리루빈 병태 생리
2.진단 ,검사, 감별
3. 치료적 관리
4. 환아소개
5. 진단검사
6. 투약
7.간호과정
8.실습후기
9.참고문헌

본문
1.병태생리
빌리루빈은 적혈구의 파괴로 인해 생기는 헤모글로빈의 분해산물 중의 하나이다. 적혈구가 파괴되었을 때 파괴산물이 순환 내로 들어오고 헤모글로빈은 두 부분 (heme and globin)으로 분리된다. Globin(protein)은 우리 신체에서 사용되며, heme 부분은 알부민과 결합된 불용성 물질인 간접 빌리루빈(unconjugated bilirubin)으로 전환된다.
간에서 빌리루빈은 glucuronyl transferase 효소의 작용으로 glucuronic acid로 변화되고 이는 매우 용해가 잘 되는 물질인 conjugated bilirubin으로 변형되고 장에서 박테리아의 작용으로 직접 빌리루빈이 urobilinogen으로 변형되고 이 색소가 대변의 특징적인 색을 만든다. 이렇게 변형된 빌리루빈의 대부분은 대변을 통해 배출되고 소량이 소변으로 제거된다.
정상적으로 신체는 적혈구의 파괴와 이로 인해 생긴 산물의 사용과 배설의 균형을 유지할 수 있다. 그러나 발달의 제한 또는 병리적 과정이 이 균형을 방해할 때 빌리루빈이 조직에 축적되어 황달이 생긴다.

원인
(1) 간에서 대사될 빌리루빈을 증가시키는 요인(용혈성 빈혈, 적혈구 수명 단축-미숙,수혈,
&nbsp;&nbsp; 장간 순환의 증가, 감염, 두혈종, 적혈구 과다증, 유전성 구상 적혈구증)
(2) Transferase효소의 작용을 감소시키는 요인(저산소증, 감염, 저체온증, 갑상선 저하증)
(3) Transferase효소와 경쟁적 관계에 있는 요인(배설에 glucuronic acid conjugation이
&nbsp;&nbsp; 필요한 약물)
(4) Transferase효소의 결핍이나 간세포에서 빌리루빈 섭취의 감소를 일으키는 요인(유전적
&nbsp;&nbsp; 결함, 미숙아)


본문내용
들어오고 헤모글로빈은 두 부분 (heme and globin)으로 분리된다. Globin(protein)은 우리 신체에서 사용되며, heme 부분은 알부민과 결합된 불용성 물질인 간접 빌리루빈(unconjugated bilirubin)으로 전환된다.
간에서 빌리루빈은 glucuronyl transferase 효소의 작용으로 glucuronic acid로 변화되고 이는 매우 용해가 잘 되는 물질인 conjugated bilirubin으로 변형되고 장에서 박테리아의 작용으로 직접 빌리루빈이 urobilinogen으로 변형되고 이 색소가 대변의 특징적인 색을 만든다. 이렇게 변형된 빌리루빈의 대부분은 대변을 통해 배출되고 소량이 소변으로 제거된다.
정상적으로 신체는 적혈구의 파괴와 이로 인해 생긴 산물의 사용과

하고 싶은 말
책을 참고로하여 신생아 황달을 정리하여 한눈에 보기 쉽게 정리 하였습니다.
 

간호학, 의학 협심증

간호학, 의학 협심증
협심증.zip


목차
Ⅰ. 서론
협심증의 정의
협심증의 종류
협심증의 진단
치료
Ⅱ. 대상자 소개
<투약>
<Lab results>
2차 수준의 사정, 간호진단, 목표설정, 중재 및 평가

본문
Ⅰ. 서론


협심증은 심근의 국소적 혹은 일시적인 허혈 상태이다. 이는 심근의 산소요구와 공급사이의 불균형의 결과로서, 주로 죽상 경화성 관상동맥질환을 가진 사람들에게 나타나지만 정상적인 관상동맥을 가진 사람에게도 나타날 수 있다. 발생요인은 세가지로 분류할 수 있다.


Ⅱ. 대상자 소개

대상자 지&#9711;&#9711; 씨는 65세의 여자로 25년 전 고혈압을 양구에서 진단 받았고, 3년 전 협심증을 강남병원에서 진단, 1년 전 당뇨를 강남병원에서 진단 받았고,

<투약>

-약명: heparin 5000u/㎖
-성분명: HEPARIN SOD. INJ. 5ML
-투약 방법: 정맥주사, 피하주사
-금기: 본제 과민증 환자, 혈액응고검사결과 응고간격이 적당하지 않는 환자, 조정할 수 없 는 활동성 출혈 환자, 신생아, 미숙아, 헤파린에 알레르기 증상이 있는 환자
-작용: 혈전증의 응고예방, 수술 후 혈전증 및 페색전증의 예방 및 피료, 색전성 심방세동 의 예방 및 치료, 급만성 응고이상증의 진단 및 치료, 혈관 및 심장수술시 응고 예 방, 뇌일혈로 인한 뇌혈전증의 예방, 수혈, 체외순환, 투석시 또는 실험실에서의 응 고 방지, 관상동맥 페색증(급성 심근경색 수반시), 말초혈관 색전증



본문내용
. 이는 심근의 산소요구와 공급사이의 불균형의 결과로서, 주로 죽상 경화성 관상동맥질환을 가진 사람들에게 나타나지만 정상적인 관상동맥을 가진 사람에게도 나타날 수 있다. 발생요인은 세가지로 분류할 수 있다.
첫째, 심근에 산소공급을 감소시키는 요인으로 혈관요인 (예를 들어, 관상동맥의 협착 및 페색, 관상동맥 경련, 관상동맥염)과 순환요인 (예를 들어, 혈액 손실, 항고혈압성 약물복용으로 인한 저혈압)과 혈액요인 (예를 들어, 빈혈, 저산소혈증, 다혈구혈증)등이 있다. 둘째, 심박출량의 증가로 인한 심근의 산소요구 증가(예를 들어, 운동 과다, 과식, 빈혈, 갑상샘 기능항진증)이다. 셋째, 심근 자체가 산소를 많이 필요로 하는 경우(예를 들어, 손상된 심근, 비대된 심근)이다. 그 외에 대동맥판막 협착증이나

하고 싶은 말
싸니깐 일단 믿고 갖고 가세요~~

가격대비 최고!!!
 

외국인 근로자의 복지정책과 의료서비스 외국인 근로자의 복지정책과 의료서비스

외국인 근로자의 복지정책과 의료서비스 외국인 근로자의 복지정책과 의료서비스
외국인 근로자의 복지정책과 의료서비스.hwp


목차
Ⅰ. 서론

Ⅱ. 외국인 근로자의 개념 및 현황
1. 외국인 근로자의 개념
2. 외국인 근로자의 현황
1) 외국인 근로자 정책 변화
2) 외국인 근로자의 규모

Ⅲ. 외국인 근로자의 의료서비스
1. 외국인 근로자의 건강권
2. 외국인 근로자의 건강 및 의료서비스 실태
3. 외국인 근로자의 의료서비스 관련 지원: 공공 및 민간 영역
1) 공공 영역
2) 민간 영역
Ⅳ. 외국인 근로자의 사회적응
1. 외국인 근로자의 생활상 어려움
1) 임금착취 및 열악한 노동환경
2) 인권침해
3) 문화적응 어려움 및 스트레스
4) 자녀교육

V. 외국인 근로자 복지정책

Ⅶ. 결론

참고문헌



본문
외국인 근로자들은 중소제조업, 건설업 등 이른바 3D 업종에서 근무, 국내 산업의 기반의 한 축을 담당하고 있으나 이들에 대한 의료서비스 보장은 제대로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외국인 근로자들의 대부분은 바쁜 업무, 언어소통의 어려움, 의료기관 접근성 문제 등으로 인해 건강문제가 발생하더라도 적절한 의료서비스를 받지 못한 채 병을 방치(放置)하는 경우가 많다. 일반적으로 외국인 근로자들은 건강관리의 접근성이 제한되므로 그들의 건강상태가 안 좋을 가능성이 높다(Margaret, 2001). 외국에서의 생활 자체가 건강에 부정적 요소로 작용할 수 있으며, 또한 체류국의 외국인 근로자에 대한 전반적 권리보장이 낮은 점, 언어, 차별 등으로 건강관리 접근성이 제한되는 점 등이 이의 요인으로 지적될 수 있다
홍승권 외(2000) 연구에서 미등록 외국인 근로자 380명중 건강하다고 생각하는 경우는 46.8%, 건강하지 않다고 생각하는 경우 45.9%로 비슷하였다. 의료보장이 없는 외국인 근로자는 69.4%로 대부분 의료보장이 안 되어 있다고 밝혔다. 한국에 온 후 질병이환이 있었다는 사람이 47.7%였고 질병 이환자 중에서는 근골격계가 가장 많은 편이었는데, 외국인 근로자에게 근골격계 질환이 두드러지는 이유로 3D 업종의 유해환경에서 일하고 있기 때문으로 해석된다. 또한 신체 계통으로 분류시 호흡기계(21.2%), 근골격계(20.6%), 소화기계(15.8%), 순환기계(12.5%) 등의 순서로 나타났다.
외국인노동자 의료공제회(2003)의 직업병 실태조사에서 국민건강보험에 가입할 수 없고 각종 질병과 위험에 노출되어 있는 287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이중 48.6%가 3일 이상의 요양이 필요한 질병을 경험한 적이 있다고 하였고, 질병 이환 경험이 있는 외국인 근로자 중 과반수가 넘는 76.0%가 직업 관련성을 의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관련 질환으로는 근골격계질환 44.2%, 신경계질환 18.3%, 호흡기계질환 14.4%, 피부질환 9.6% 순서로 비율이 높게 나타났다.
설동훈 외(2005) 연구에서는 외국인 근로자 685명중 한국에 입국 후 아픈 경험이 있는 경우는 61.3%에 해당되었고 이 가운데 병원에서 진료를 받은 횟수는 2~4회가 35.7%, 1번 이하가 29.5%, 8번 이상이 23.4%, 5~7번이 11.4%로 나타났다. 이들이 앓고 있는 병은 위십이지장 궤양이 25.1%로 가장 많았고, 고혈압(24.9%), 알레르기(18.4%), 류머티스 관절 질환(12.7%), 당뇨병(10.3%)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의료기관 이용과 관련하여, 근로자의 71.1%가 정기검진을 전혀 받지 않았는데, 12.8%는 아파도 진료비 등을 이유로 병원에서 치료받지 못하였다고 하였다. 의료기관을 이용하기 힘든 이유로 진료비 부담(43.1%), 병원 갈 시간 없음(35.4%)이 높은 편으로 의료기관에서 치료받지 못하는 이유 역시 진료비 부담(36.1%), 병원 갈 시간이 없음(30.5%)을 주요 원인으로 지적하였다. 치료방법으로 정기적 약물복용이 32.9%로 가장 높았고 통원치료(31.1%), 입원치료(15.6%) 등의 순이었고, 치료받지 못하는 경우도 12.8%에 해당되었다. 가장 많이 이용하는 의료기관은 종합병원의원이 26.1%로 가장 높았고 약국(24.5%), 의원(19.8%), 무료진료소(19.1%), 보건소(6.1%), 한의원(4.4%)의 순으로 나타났다. 무료진료소 이용과 관련 월평균 무료진료 서비스를 이용한 횟수는 1회(39.5%), 없음(28.7%), 2회(26.4%), 3회 이상(5.4%) 순이었다. 무료진료소를 계속 이용할 의향에 대해 86.6%가 이용하겠다고 응답하였고, 무료진료소 서비스 이용의 애로사항으로 진료대기 시간(24.7%), 재정 부족(20.3%), 진료시간 부족(13.8%), 인력 부족(11.3%), 약품 부족(11.3%) 등을 지적하였다.
김미선(2004)은 외국인 근로자 의료실태 유형으로 고액의 응급의료지원 신청 증가 불법체류 외국인 근로자들은 단속이 강화되는 시기 기존의 무료진료소를 이용하거나 순회검진을 통한 질병의 조기발견과 치료 연계의 기회를 놓쳐 오히려 이들의 질병발병 양상은 응급, 고액치료 사례가 주를 이루는 경우가 있었다(김미선, 2004).
여성 외국인 근로자들의 자녀 출산 및 신생아 질병 지원 증가 한국인 여성들은 산전후 휴가, 임신시 연장근로 금지 등 건강을 보호받도록 되어 있으나 외국인 여성들은 이의 혜택을 요구할 수 없는 상황이다. 임신 사실을 숨기거나 일하다 유산이나 조산의 경험을 하기도 하고 대부분 임신하면 일자리를 잃게 되므로 임신중절수술을 받기도 한다. 조산, 유산 사례들이 늘며 신생아들에 대한 응급치료 지원요청이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김미선, 2004).
합법취업자에 대한 건강검진과 차별적 악용 사례 발생 합법화된 이들의 비자 연장시 건강검진 진단서 첨부 의무화 규정에 따라 건강검진 결과, 전염성 질환이 심각하지 않음에 불구하고 고용주 기피 등으로 인해 고용관계가 중단되기도 하였다
그리고 합법체류자 건강보험 등 사회보험 가입 미비 등에 대해 지적하였다. 특히, 합법체류자 건강보험 등 사회보험 가입 미비 2004년 정기국회 보건복지부 국정감사 자료에 따르면 건강보험은 2004년 8월 말(강제가입 적용 이후 시점) 가입률 11.6%, 국민연금 19.2%, 그리고 고용보험은 1.2%로 대체로 낮은 가입률을 보였다
이유에 대해 2004년 8월 &#65378;외국인 근로자 고용 등에 관한 법률&#65379;의 본격적 시행에 따른 국민연금, 건강보험, 고용보험 등이 모두 강제가입 사항이나 고용주가 추가 부담을 우려하여 사회보험 가입을 기피하는 것과 가사서비스, 건설업, 청소, 농업, 어업, 임업 등 현실적으로 건강보험 등을 가입하기 어려운 사업장이 있다는 점을 들어 설명하고 있다. 또한 합법화 신청 당시 합법체류 자격을 얻기 위하여 실제 본인이 일하는 사업장이 아닌 다른 곳에서 취업확인서를 받는 경우도 있기 때문이라고 하였다.
홍승권 외(2006) 연구 에서는 국내거주 541명의 외국인 근로자중 한국에 입국 후 아파 본 경험이 있는 경우는 59.1%에 해당되었고, 이중 아파서 병원에서 진료를 받은 횟수가 2~4번 경험이 46.7%, 1번 이하가 21.5%, 8번 이상이 17%, 5~7번이 12.6%로 조사되었다. 입국 후 아픈 경험 여부 및 아파서 병원에 간 횟수도 합법체류자와 불법체류자간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외국인 근로자가 앓고 있는 만성질환으로 고혈압이 11.8%로 가장 높은 비율을 보였고, 위&#8228;십이지장 궤양 등 위장관 질환(11.5%), 알레르기(10.7%), 류머티스 관절 질환(6.5%) 순이었다. 아플 때 치료방법으로 통원치료가 33.3%로 제일 많았고, 정기적으로 약복용(23.3%), 치료받지 못함(18.3%), 입원치료(13.3%)의 순으로 나타났다. 의료비 부담방법으로 전액본인 부담이 47.5%로 가장 많았고, 건강보험+본인부담이 21.0%, 기타 및 무료진료기관 이용, 전액 건강보험 적용, 다른 사람들의 도움 순이었다. 가장 많이 이용하는 의료기관으로 종합병원&#8228;병원(32.4%)이 제일 많았고, 약국(21.9%), 의원(20.8%), 무료진료소(16.3%), 보건소(6.6%), 한의원(2.0%) 순이었다. 의료기관을 이용하는 데 힘든 이유로 진료비 문제(45.6%) 및 언어소통 문제(42.6%)가 1, 2위를 차지하였고, 의료기간에서 치료받지 못하는 이유로 진료비 부담(32.5%), 병원 갈 시간 없음(326.6%) 등의 순이었다. 정기검진 받는 경우는 26.6%에 불과하여 10명중 7명이 정기검진을 받지 못했다. 건강검진을 받은 장소는 병&#8228;의원(41.7%), 무료진료소(27.8%), 보건소(15.3%)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이정석(2007) 연구에서 경남지역 거주하는 외국인 노동자 597명중 의료보건복지 전반에 대해 ‘보통(49.9%)’과 ‘불만’(27.3%)을 합친 77.2%가 의료보건복지 전반에 대해서 만족하지 않는 편이라 밝히고 있다. 또한 건강검진을 제외하고 보건서비스에 대해 80% 이상이 수혜경험이 없다고 응답하여 외국인 근로자들이 심각한 의료서비스 사각지대에 노출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본문내용
2) 외국인 근로자의 규모
Ⅲ. 외국인 근로자의 의료서비스
1. 외국인 근로자의 건강권
2. 외국인 근로자의 건강 및 의료서비스 실태
3. 외국인 근로자의 의료서비스 관련 지원: 공공 및 민간 영역
1) 공공 영역
2) 민간 영역
Ⅳ. 외국인 근로자의 사회적응
1. 외국인 근로자의 생활상 어려움
1) 임금착취 및 열악한 노동환경
2) 인권침해
3) 문화적응 어려움 및 스트레스
4) 자녀교육
V. 외국인 근로자 복지정책
Ⅶ. 결론
참고문헌
Ⅰ. 서론
오늘날 한국사회는 저출산ㆍ고령화가 빠르게 진전됨에 따라 노인인구의 절대수 및 전체인구 중 노인인구가 차지하는 비율이 급속히 증가하고 있다 1990년 65세 이상 노인인구는 2,195천명이었고, 2000년에는 3,395천명, 그리고 2007년에는 4,810천명으로

참고문헌
외국인 근로자를 위한 의료서비스 활성화 방안에 관한 연구
경희대 행정대학원 ㆍ 이은자

교육소외계층을 위한 교육복지 정책의 방향과 과제
한국교육개발원 ㆍ 이종재

불법체류 근로자의 산재보험 적용에 대한 연구
건국대 행정대학원 ㆍ 신동민

제조업체의 외국인노동자 활용방안에 관한 연구 :3D업종을 중심으로
한경대 산업대학원 ㆍ 김부현

한국 내 외국인 근로자의 정신건강수준에 대한 관련요인연구
한양대학교 간호과학연구소 ㆍ 최현주

국내 거주 외국인 근로자의 건강수준 평가와 체계적 관리방안
서울대학교병원 ㆍ 홍승권

일부 외국인 근로자의 건강문제
경북대 대학원 ㆍ 김애련

외국인근로자의 근로조건 개선에 관한 연구
한양대 행정대학원 ㆍ 김상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