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3년 8월 18일 일요일

조직행동론 6장 학습-학습이론, 강화이론과 조직행동수정

조직행동론 6장 학습-학습이론, 강화이론과 조직행동수정
[조직행동론] 6장 학습-학습이론, 강화이론과 조직행동수정.pptx


목차
Ⅰ.학습의 정의
Ⅱ.학습이론
-행동학습이론
-인지학습이론
-사회학습이론
Ⅲ.강화이론과조직행동수정
-강화이론
-조직행동수정


본문
2) 작동적 조건화
외부의 자극에 의해서가 아니라 유기체의 의도적,
자발적인 조작적 행동에 대한 반응과 이에 따르는
보상에 의해 행동하게 된다는 이론

ex) 장학금, 연장근무 추가수당 등.

2) 인지도 학습
인지학습이란 관찰이나
고전적 조건화가 이루어지기
위해 필요한 반복학습이 없는
상태에서 오직 인지과정을
통해서 이루어지는 학습이다.
ex) 톨만의 쥐 실험.



(1)적극적 강화
어떤 반응에 대해 즐거움을 주어 그 행동을 촉진하는 것

- 공무원 성과상여금제도
성과상여금제도는 공무원이 1년간 추진한 업무실적을 평가하여 능력 있고 실적이 우수한 공무원에게 인센티브를 부여함으로써, 공직사회의 경쟁력과 생산성을 제고하고 열심히 일하는 분위기 조성을 위해 도입된 제도
- 직무성과계약제
당해 연도의 직무성과계약에 의해 개인의 성과를 평가하고, 평가결과를 성과급, 승진 등에 반영하고자 중앙인사위원회가 도입한 성과관리제도 이다. 더 좋은 직무성과를 유도하기 위해 성과급과 승진을 제공한다는 점에서 적극적 강화에 속한다.
또한 칭찬, 복지혜택 제공, 승진 등을 제공하는 것도 여기에 속한다.
(2) 소극적 강화
어떤 반응에 대해 불쾌함을 제거하여 그 행동을
촉진시켜 주는 것

- 근무성적 평정제도
공무원이 근무하는 정부기관 내에서의 능력, 가치관, 근무실적을 평
정자가 체계적이고 정기적으로 평정하는 것을 말한다.
이 제도는 대우와 상벌의 불공평, 승진의 차별 등 부정적인 결과를
제거하여 행정능률을 향상시키는데 힘쓴다는 점에서 소극적 강화에
속한다고 볼 수 있다.





본문내용

경험의 결과로 나타나는 비교적 지속적인
행동의 변화나 그 잠재력의 변화,
또는 지식을 습득하는 과정

Ⅱ. 학습이론
행동학습이론
1) 고전적 조건화
2) 작동적 조건화

Ⅱ. 학습이론
고전적 조건화
조건화란 자극을 반응에 연결시키는 것으로써
하나의 사건, 상징, 또는 대상물이 다른 것에 연결되는
것을 의미한다.
고전적 조건화에서 어떤 사건이 과거에 특정 행동을 유발한 사건과 연계될 때 학습이 이루어진다.

- 파블로프의 개 실험
종을 친 뒤 먹이를 주는 행동을 반복하면
종을 치기만 해도 개는 저절로 침을 흘린다.
http://nobelprize.org/educational/medicine/pavlov/pavlov.html
- 파블로프의 개 게임
http://www.youtube.com/wat

참고문헌
삼성경제연구소
www.Youtube.com동영상
http://www.youtube.com/watch?v=5NoQZekAaZg
http://www.youtube.com/watch?v=K108CfHW2_4&feature=related
http://www.youtube.com/watch?v=JA96Fba-WHk
http://www.youtube.com/watch?v=O3OSZwdAP6w
네이버 뉴스
http://www.safetygo.com/s/content.asp?top=3&smenu=2&catesel=1&idx=126&page=6
nobelprize.org
http://nobelprize.org/educational/medicine/pavlov/pavlov.html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