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3년 8월 18일 일요일

경제학 금융, 통화협력의 중요성 및 동아시아 통화통합의 가능성에 관한 논의

경제학 금융, 통화협력의 중요성 및 동아시아 통화통합의 가능성에 관한 논의
[경제학] 금융, 통화협력의 중요성 및 동아시아 통화통합의 가능성에 관한 논의.pptx


목차
1.금융협력에 대한 일반적 논의
2.통화통합의 의미, 요건, 효과
3.동아시아 통화통합의 가능성에 대한 이론적 접근


본문
실물 부분이 아니라 통화나 금융과 같은 비 실물적인 경제 영역에 대한 전 세계적 협조, 규제 및 제도적 합의

<최근의 흐름>
금융시장의 급속한 통합
자본이동의 자유화 흐름
`97 동아시아 금융위기`08 서브프라임 모기지 사태


IMF, G20 등의 국제적 금융협력 필요성 증가


수출입량 증가시 산업 내 무역 활발로 수평적 통합
→ 통화통합과 직접적 연관성 부족으로 상세 내용은 생략

전상준(2010)
아시아 19개국의 자본이동의 자율성이 1960년에서 2009년에 이르기까지 약 두 배 높아짐
Frankel(1991)의 한계 지적

전상준(2010)
1960~1979 중에도 EU/G7보다 동아시아의 자본이동 정도가 낮지 않고 그 수준이 향상됨을 언급



본문내용
실물적인 경제 영역에 대한 전 세계적 협조, 규제 및 제도적 합의
<최근의 흐름>
금융시장의 급속한 통합
자본이동의 자유화 흐름
`97 동아시아 금융위기 `08 서브프라임 모기지 사태
IMF, G20 등의 국제적 금융협력 필요성 증가

동아시아 금융협력의 현황

동아시아 지역블록 금융협력 현황
아시아 통화기금(AMF : Asian Monetary Fund)
신미야자와 구상
치앙마이 이니셔티브(Chiang Mai Initiative)
국가 간 통화스왑(swap)제도
순수한 경제적 효율성의 의미가 아니라, 경제적 패권의 확립이라는 정치적인 의미가 포함.
- 일본과 중국이라는 강대국들의 국제정치적 대립
- 동아시아 국가들 간의 문화적 차이
- 경제 발전 수준의 차이
아직까지는 금융협력이 미비한 수준.

동아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