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3년 8월 18일 일요일

미디어 경제학 온라인 교육 산업 분석

미디어 경제학 온라인 교육 산업 분석
[미디어 경제학] 온라인 교육 산업 분석.pptx


목차
처음 이야기
사용할 분석틀 – SCP!
시장환경과 구조를 분석해보자!
시장현황
시장구조
시장구조 – 페이지 뷰 (다음 디렉토리 참고)
시장구조 – 순방문자 (다음 디렉토리 참고)
시장현황
시장 행위 분석 - 제품 차별화
시장 행위 분석 - 가격 차별화
시장 성과
정리해보면?
쟁점은 무엇인가
향후전망

본문
EBS: 무료 인터넷 강의 → 메가스터디와 강의 매출 단순 비교 어려움
EBS의 출판사업 수익은 잠시 떨어졌다가 다시 상승세
메가스터디 역시 온라인 강의 매출의 상승과 더불어
출판 수익도 6년새 4배가량 상승
- 두 업체는 치열한 접전을 벌이며 동반 성장 중


온라인 공교육사이트
중상위권 학생보다
하위권 학생 위한 강의
현직교사 위주의 강사진
수능‘EBS 우선 출제’
가격 대비 효용 최고


최초의 기업형 인강사이트
난이도에 따른 강의 세분화
스타강사의 포진
높은 적중률의 배치서비스
비용 대 효용수준
EBSi에 비해 낮음


메가스터디와 비슷한 점유율,
무료 강의임을 감안하면 사실상 뒤지고 있는 것


- 강의를 듣는 학생은 많아, But 만족도는 글쎄
- 사설 사이트 : 스타강사와 수준별 교육으로 맞춤형서비스


본문내용
출처: 한국 교육 개발원
- 사교육 억제 위해 정부 차원에서 ‘EBS 수능 강의’ 시작
(온라인 강의)
이 후 지속적으로 성장한 사이버 학습 지원 영역
>> EBSi 및 다양한 사교육 업체 참여 → 큰 규모의 시장
- 최근 스마트폰, IPTV등과 결합하여 큰 변화
흥미로운 주제인 듯?!

사용할 분석틀SCP!
구조
시장집중도
시장점유율
사이트 방문자 수
성과
다양화 / 편리성
신뢰성 / 공익성
행위
제품차별화
가격차별화

시장환경과 구조를 분석해보자!
시장현황
계속해서 성장하는 e러닝 시장
e러닝 활용도도 높아짐
EBS 활용도의 상승

시장현황
수능 입시 온라인 교육 시장도 커짐
- EBS와 메가스터디를 필두로 한 다양한 업체들이 등장
출처- 랭키닷컴의 사이트 순위

시장구조
시장 점유율
2010년 기준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