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3년 5월 31일 금요일

사회복지 노인 일자리 사업 문제점과 개선방안

사회복지 노인 일자리 사업 문제점과 개선방안
[사회복지] 노인 일자리 사업 문제점과 개선방안.hwp


목차
제1장 서론
제2장 문헌고찰
제3장 기관방문
제4장 문제점 및 개선방안
제5장 결론
참고 문헌



본문
제1장 서론

2011년 10월 31일, 필리핀 마닐라에서 세계 70억 번째 아기가 탄생했다. 기념할 만한 일이지만, 70억이라는 숫자는 단순히 기뻐할 수만은 없는 수치이다. 현 지구는 인구 포화상태에 이르러 있으며, 그 중 노인인구의 증가는 단연 핵심적인 원인 중 하나로 꼽힌다. 2006년에 전 세계의 노인 인구는 688백만 명으로 이미 전 세계 인구의 10%선을 돌파했으며 일본, 독일 등 일부 선진 국가에서는 이미 노인이 인구의 20% 이상을 차지하고 있는 초고령 국가로 진입하였다. 우리나라의 경우, 고령화의 속도가 전 세계에서 유례를 찾아보기 힘들 정도로 빠르다. 2000년에 고령화 사회로 진입하여 2018년에 이미 고령 사회로, 그리고 2026년에는 초고령사회로 진입할 것으로 예상된다(보건복지부, 2010.06.09). 일본의 경우 고령화사회에서 초고령사회로 진입하는데 걸린 기간이 36년이 걸린 반면, 우리나라는 이를 10년이나 단축한 26년 만에 초고령 사회로 진입할 것이다. 이처럼 고령화가 급속도로 진행됨에 따라 노인 실직, 노인 빈곤, 독거노인 등 다양한 노인 문제가 대두되고 있다.



본문내용
이라는 숫자는 단순히 기뻐할 수만은 없는 수치이다. 현 지구는 인구 포화상태에 이르러 있으며, 그 중 노인인구의 증가는 단연 핵심적인 원인 중 하나로 꼽힌다. 2006년에 전 세계의 노인 인구는 688백만 명으로 이미 전 세계 인구의 10%선을 돌파했으며 일본, 독일 등 일부 선진 국가에서는 이미 노인이 인구의 20% 이상을 차지하고 있는 초고령 국가로 진입하였다. 우리나라의 경우, 고령화의 속도가 전 세계에서 유례를 찾아보기 힘들 정도로 빠르다. 2000년에 고령화 사회로 진입하여 2018년에 이미 고령 사회로, 그리고 2026년에는 초고령사회로 진입할 것으로 예상된다(보건복지부, 2010.06.09) 고령화 사회 : 노인 인구가 전체 인구의 7%, 고령 사회 : 노인 인구가 전체 인구의 14%, 초고령

참고문헌
1. 학술잡지

권구영, 박공식(2007), 노인일자리사업의 효과성에 관한 연구, 한국노년학, 27(3), pp. 527~547
김경휘(2011), 민간분야 노인일자리사업의 소득향상 방안, 노인인력개발포럼, 6호, pp. 46~62
남기철(2011), 한국 노인일자리사업의 현황과 쟁점, 월간 복지동향, 148, pp. 12~19
박풍규(2008), 고령화사회의 노인 일자리사업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우암논총, 30
이인재(2005), 노인일자리사업 평가및 활성화 방안, 월간 복지동향, 78, pp. 15~22
정성미(2011), 고령자 노동시장의 구조변화, 월간 노동리뷰, 10월호, pp. 70~91
최성희, 이건학(2008), 노인 일자리사업 활성화 방안 연구, 21세기사회복지연구, 5(1), pp. 199~221
한정란(2011), 노인인적자원 개발의 문제와 개선방안, 노인인력개발포럼, 6호 pp. 5~28

2. 학위논문

강창선(2010), 노인일자리사업 운영현황과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서울사회복지대학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고재욱(2007), 노인 고용정책의 효과에 관한 연구, 명지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김인석(2008), 노인일자리사업 활성화방안 연구, 조선대학교 정책대학원, 석사학위논문
김희순(2008), 노인일자리사업 참여노인의 생활만족도 연구, 가톨릭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오흥원(2010), 노인취업 정책 및 프로그램 개선을 위한 고령자 인식연구, 국민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이성숙(2010), 고령화사회의 노인인력활용 활성화 방안에 관한 연구, 동아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이정순(2006), 고령화시대에 한국의 노인고용정책에 관한 연구, 건국대학교 행정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이희원(2009), 노인일자리사업에 대한 노인의 인식에 관한 연구, 원광대학교 행정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장유미(2011), 노인일자리사업 참여가 사회적 자본 변화에 미치는 영향 연구, 경성대학교 일반대학원, 박사학위논문
황춘익(2008), 고령사회의 노인소득보장정책에 관한 연구, 동국대학교 행정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 정기 간행물

한국노인인력개발원(2010), 2010 노인일자리사업 정책평가

4. 국외 문헌

Sally A. Weller,『Discrimination, labour markets and the labour market prospects of older workers: what can a legal case teach us?』, Work Employment & Society September 2007 vol. 21 no. 3 417-437
Colin Duncan,『Assessing Anti-ageism Routes to Older Worker Re-engagement』, Work Employment & Society March, 2003, vol. 17 no.1 101-120
W. Jack Rejeski a and Shannon L. Mihalko b, 『Physical Activity and Quality of Life In Older Adults』, The Journals of Gerontology: Series A Volume56, Issue suppl 2 Pp. 23-35.
Lindsey A. Baker, Lawrence P. Cahalin, Kerstin Gerst and Jeffrey A. Burr,『Productive Activities And Subjective Well-Being Among Older Adults: The Influence Of Number Of Activities And Time Commitment』, Social Indicators Research,Volume 73, Number 3, 431-458
Gerhard Naegele, Katrin Kramer,『Recent Developments in the Employment and Retirement of Older Workers in Germany』, Journal of Aging & Social Policy, Volume 13, Issue 1, 2002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