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3년 5월 26일 일요일

국제관계 남북러 가스관 프로젝트 분석

국제관계 남북러 가스관 프로젝트 분석
[국제관계] 남북러 가스관 프로젝트 분석.pptx


목차
1. 최대 자원 보유국으로써의 러시아
2. 러시아의 대외 에너지 정책
3. 남ㆍ북ㆍ러 가스관 프로젝트란?
4. 가스관 프로젝트 ; 가능성과 각국의 이해관계
5. 가스관 프로젝트 ; 한계 측면
6. 해결책 및 전망


본문
1. 최대 자원 보유국으로써의 러시아

원유

세계 석유 무역의 약 12%를 담당
러시아산 원유의 80% 이상은 유럽으로 수출
유럽 석유 시장 점유율은 약 30%

천연가스


유럽 국가의 가스 소비량 중 러시아산 가스의 소비량은 약 30%에 이르고 있어 중앙아시아 및 유럽 지역 가스 공급에 중요한 역할을 담당

석탄

러시아 석탄 보유량은 세계 2위로 세계 석탄 매장량의 19%를 차지
석탄 생산량은세계 5위, 세계 석탄 무역의 약 12%를 담당

원자력 에너지

러시아의 원자력 에너지는 세계 원자력 에너지 시장의 5%를 차지하는 원자력 강국


본문내용
시아의 대외 에너지 정책

3. 남북러 가스관 프로젝트란?

3. 남북러 가스관 프로젝트란?

3. 남북러 가스관 프로젝트란?
그러나 가스관 프로젝트가 추진될 가능성이 보이고 있는 것은 사실이지만,
청와대는 MOU 내용대로 2013년에 건설이 착수되는 것으로 볼 단계는 아니라는 반응을 보였고, 한국가스공사측도 2016년까지 공사를 마무리한다는 것은 확정적으로 말할 수 없다는 반응을 보였다.

4. 가스관 프로젝트 ; 가능성의 측면
가스관 프로젝트는 명확한 협의나 협정이 존재하지 않음
아직까지 추진, 논의 단계라고 볼 수 있다.
정부는 이미 3국 가스 당국 간 실무협의의 진행 상황을 감안해 정부 간 협의 시점을 결정한다는 방침을 세워놓고 있으며,
러시아의 적극적 자세(북한의 위험요소 관리, 가스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