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목차>
  제 1 장. 서론
 
 
  제 2 장. 
호텔경영전략
 
  제 1 절. 호텔경영전략 개념, 정의
 
  제 2 절. 호텔경영전략의 중요성 
 
  제 3 절. 호텔경영전략의 단계
 
  제 4 절. 호텔경영전략의 유형
 
  제 5 절. 성공적 
호텔경영전략의 사례
 
 
  제 3 장. 결론 
 
 
  본문 - 기업이 여러 업종으로 다각화되어 있는 
경우는 일반적으로 기업전략과 사업전략은 분리되어 있다.  3. 기능전략(Functional Strategy) : 어떤 마케팅(혹은 
재무, 인사관리, 운영)전략이 효과적인가? - 사업전략보다 대상범위가 좁다. - 주로 사업을 운영하는데 필요한 일상의 활동에 주안점을 
둔다. - 기능전략의 전략적 계획은 실행을 통하여 제한 된 경영자원으로 최대의 효과와 효율을 달성하는 것. - 재무관리, 마케팅, 
생산관리, 운영, 인사관리, 경영관리, 연구개발로 구성
  기능 영역 요 소 재무관리 자산경영, 예산편성, 자본구조, 
자금수급, 위험경영, 재무계획, 배당률 결정, 예상, 기업 인수 및 합병, 통제시스템 인사관리 종사원관리, 조직행동, 노사관계, 
리더십 마케팅 판매유통경로, 홍보 및 판촉, 가격결정, 상품 및 서비스 관리, 고객세분화, 연구 경영관리 보험관계, 
회계시스템, 경영정보시스템, 전략적 계획, 법률문제 운영관리 생산관리, 품질관리, 자원의 획득 및 저장, 안전보안, 
공정관리 연구개발 상품개발, 고객개발, 새로운 사업계획
 
  - 사업전략은 경쟁을 위한 방법을 파악하는 것인데 반해 
기능전략은 기업이 개발한 가장 가치 있는 경쟁수단을 효과적으로 실행하는데 필요한 각 기능별 세부 활동이다. - 특정 기능전략은 반드시 다른 
기능전략과 맥을 같이 해야 할 뿐만 아니라 반드시 상호 연계되어 경쟁수단을 지원해야 한다.  - 기능전략은 가장 세부적이고 자세하며 보통 
일 년을 수명주기로 한다. 다른 수준의 전략과 비교했을 때 기능전략은 더 자주 변하며 경쟁사의 움직임에 직접적인 영향을 
받는다.
  ※호텔경영전략에 있어 상호일치의 원칙에 입각한 접근 방식이 중요하다. 상호일치의 원칙(Co-alignment 
Principle) - 경영진은 기업에게 가치를 제공하는 경쟁수단에 일관적효과적으로 경영자원을 배분할 수 있는 사업구조를 구축해야 한다. 
이러한 관계를 상호일치의 원칙이라고 한다. - Olsen은 그의 저서를 통해 ‘상호일치의 원칙’은 기업의 경영진은 수시로 변해가는 경영환경 
속에서 최대의 재무가치를 창출할 수 있는 요소에 집중 투자해야 하며, 투자와 가치창출을 위해서는 효과적인 자원배분을 위한 
사업구조
 
  본문내용 3 절. 호텔경영전략의 단계  제 4 절. 호텔경영전략의 유형  제 5 절. 성공적 
호텔경영전략의 사례  제 3 장. 결 론  제 1 장. 서 론 전통적인 경영학의 이론에서는 생산의 3요소인 자본, 노동, 
물질만을 중요시 해왔을 뿐 정보를 주요생산재로서 인식하지는 않았다. 그러나 정보화시대로의 진입은 정보를 제4의 생산요소로서 평가되고 있는 
상황으로 변화시켰다.  그 동안 호텔의 경쟁력은 가격과 품질이라는 시각에서 접근하여 왔다. 그러나 정보화시대의 경쟁력은 시간이 승부를 
좌우하게 되었고 제품이나 서비스의 가치를 결정하는 데 있어서 고객의 시간낭비에 따른 비용의 감소여부가 중요한 요소가 되고 있다. 
 호텔경영의 가장 큰 목적은 고객만족과 인적서비스를 최대화하는 것이다. 정보기술(IT : 
Informatio
  참고문헌 ※참고자료 -http://blog.naver.com/aina1217?Redirect=Log&logNo=40002433631 -http://blog.naver.com/114as?Redirect=Log&logNo=90104454880 -호텔경영학, 
김경환, 백산출판사, 서울, 2011. -호텔조직문화가 경영전략과 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서울시내 특급호텔을 중심으로 / 
김영호 |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