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3년 7월 3일 수요일

중앙대학교 핵심교양 환경과 인간 김재근 교수님 수업 시험문제 정리

중앙대학교 핵심교양 환경과 인간 김재근 교수님 수업 시험문제 정리
중앙대학교 핵심교양 '환경과 인간' 시험문제 정리.hwp


목차
문제1. 지구의 대기에 대해 설명하시오.
문제2. 지구온난화에 대한 메커니즘에 대해 논하시오.
문제3. 적외선/자외선을 구분하여 설명하시오.
문제4. 에어로졸에 관해 설명하시오.(에어로졸을 설명하고 황사에 대해 논하시오)
문제5. 엘리뇨 현상에 대해 설명하시오.
문제6. 빙상, 빙붕, 빙산, 빙하를 각각 구별하면서 빙붕의 중요성을 설명해 보시오.
문제7. 나비효과에 대해 설명하시오.
문제8. 지구온난화 & 투모로우 효과에 대해 설명하시오.
문제9. 해양생태계에 대해 설명하시오.
문제10. 지구환경의 역사에 대해 논하시오.
문제11. 프레온가스의 장점과 단점을 설명하시오.
문제12. 지구온난화 지수와 복사강제력을 구분하여 논하시오.
문제13. Keeling Curve에 대해 논하시오.
문제14. 이산화탄소에 대해 논하시오.
문제15. 석탄, 석유, 천연가스에 대해 논하시오.(CH레시오에 대해 논하시오. or 열효율에 대해 논하시오.)
문제16. 가이아 이론에 대해 논하시오.

본문
문제16. 가이아 이론에 대해 논하시오.
- 영국의 과학자 제임스 로벨록이 화성에 생물이 존재하는가에 대한 NASA 관련 연구 중에 제안한 것이 그 시초이다. 화성에 생명이 존재하는지를 알려면 화성에 직접 가봐야 아는 것이 아니라, 존재한다면 대기 성분과 당연히 끊임없이 반응할 것이라는 연구를 한 것이다. 지구 또한 일반 생체조직들과 마찬가지로 그 몸 안의 화학성분과 온도의 변화가 생명에 적합한 범위에서 자율적으로 조절된다고 가정하고 지구를 하나의 생리학적 개체로 해석했다. 그래서 이론의 이름을 그리스 신화에 나오는 대지의 여신 이름을 따서 가이아라 명명했고, 지구와 지구에 살고 있는 생물권, 대기권, 수권, 암석권까지를 포함하는 하나의 범지구적 실체로 해석을 했다.
생물과 무생물이 서로에게 영향을 미치는 생명체로 바라보면서 전체적으로 지구 스스로가 항상성을 유지하기 위해 일정 범위 내에서 물리적, 화학적 환경을 조절하도록 피드백 시스템을 구성하는 것으로 해석하여 점진적으로 진화하는 체계로 이해했다. 환경이 생명을


본문내용
다가 오존층이 있는 성층권으로 올라가면 다시 온도가 상승한다. 중간권에 진입하게 되면 온도가 다시 낮아지다가 열권으로 올라가면 다시 온도가 높아지는 W자 형태를 띠게 된다. 그 이유는 대류권에서는 온실기체가 높이 올라갈수록 농도가 높기 때문이다. 온실기체는 햇빛 에너지를 흡수하는데 적정수준을 넘어 포화상태가 되면 대륙 쪽으로 에너지를 방출한다. 그러면 온도가 대륙과 가까울수록 높고 대륙과 떨어져 높이 올라갈수록 낮아지게 된다.
성층권에서는 오존층 농도가 짙어진다. 그러나 온실기체 만큼 존재하지는 않는다. 그래서 따뜻한 에너지를 유지하다가 오존층이 없어지면 온도가 떨어진다. 중간권에서는 공기 밀도가 희박해서 태양에너지를 잘 흡수하지 못한다. 그렇기 때문에 열권에 가까워질수록 온도가 떨어진다. 열권은 거의 진공

하고 싶은 말
중앙대학교 핵심교양 환경과 인간 김재근 교수님 수업 시험문제 정리자료입니다.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