근대화를 맞이한 전통사회와 김동인의눈을 겨우 뜰 때
김동인의 눈을겨우뜰때.hwp |
|
목차 1. 머리말 2. 작가소개 2.1 유소년기 2.2 작품 세계 2.3 생애 3. 줄거리 4. 소설의 배경인 평양 4.1 1918년 당시의 평양 1) 기독교 성지 2) 조선 유일의 상공업 도시 3) 수려한 자연경관 4.2 김동인의 평양에 대한 인식 1) 근대화에 의해 훼손된 전통사회: 연민과 애착의 대상으로 인식 2) 근대화가 진행된 사회: 비판의 대상으로 인식 3) 수려한 자연경관: 비극적 운명을 절감하는 공간으로 인식 5. 비평: 근대화를 맞이한 전통사회 5.1 전통성과 근대성의 혼재 5.2 인간의 상품화 □ 참고자료
본문 김동인은 전통적 세계에 남다른 연민과 애착을 보여준 대표적인 작가 중 하나이다. 〈눈을 겨우 뜰 때〉에 드러나는 기생 금패(근대성에 의해 허물어지는 전통적 존재)에 대한 김동인의 연민과 애착은 그녀가 속해 있는 전근대적인 삶의 세계를 향한 것이기도 했다. 물론, 김동인은 일본 유학파 엘리트인 점이나 자연과학의 영향을 받은 사실주의 계열의 소설을 쓴 점으로 미루어보아 ‘근대성’과 연이 닿아있는 사람이었다. (중략) 근대사회에서 인간은 한편으로, 자유와 등의 권리를 가진 존엄한 존재이지만 다른 한편으로는 사고파는 상품으로 취급받고 있다. 이는 근대 자본주의 체제가 가져온 사회적 모순이다. 자본주의는 모든 것을 상품화하는 경향을 갖는다. 인간도 여기서 예외는 아니다. 평양이라는 조선 유일의 상공업 도시에서 금패는 ‘새 손님’에 의해 ‘사람이 아닌 춘정 파는 아름다운 동물’ 내지는 ‘돈만 있으면 살 수 있는 물건’으로 여겨지고 있다.
본문내용 1 1918년 당시의 평양 1) 기독교 성지 2) 조선 유일의 상공업 도시 3) 수려한 자연경관 4.2 김동인의 평양에 대한 인식 1) 근대화에 의해 훼손된 전통사회: 연민과 애착의 대상으로 인식 2) 근대화가 진행된 사회: 비판의 대상으로 인식 3) 수려한 자연경관: 비극적 운명을 절감하는 공간으로 인식 5. 비평: 근대화를 맞이한 전통사회 5.1 전통성과 근대성의 혼재 5.2 인간의 상품화 □ 참고자료 1. 머리말 본 보고서는 김동인의 단편소설 〈눈을 겨우 뜰 때(1923)〉와 관련하여, 작가 김동인과 줄거리, 작품의 배경인 평양에 대해 소개하고 있다. 작중 평양은 근대화를 맞이한 전통사회라 할 수 있는데, 약 100년 전의 사회임에도 현대사회와 많은 부분이 맞닿는 모습을 보인다. 2. 작가소개 2장에서
참고문헌 김동인(1987), 김동인전집16, 조선일보사. 김동인(1993), 눈을 겨우 뜰 때, 감자, 문학사상사. 노상래(2012), 김동인 소설에 나타난 죽음의 한 양상, 한민족어문학62, 한민족어문학회. 이철호(2010), 근대소설에 나타난 평양 표상과 그 의미, 상허학보28, 상어학회. 정혜영(2000), 김동인 소설과 평양이라는 도시 공간, 현대소설연구13, 한국현대소설학회.
하고 싶은 말 김동인의〈눈을 겨우 뜰 때〉를 근대성과 전통성을 키워드로 분석했습니다. 20세기 초 즉, 일제강점기 평양 자체에 대한 자료가 필요할 경우에도 참고하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중간중간 출처 표기 꼼꼼하게 했습니다. |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