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3년 9월 5일 목요일

패션마케팅 패션브랜드 ZARA의 성공마케팅 전략분석

패션마케팅 패션브랜드 ZARA의 성공마케팅 전략분석
[패션마케팅] 패션브랜드 ZARA의 성공마케팅 전략분석.hwp


목차
목 차
Ⅰ. 서 론
- SPA란?
- 우리나라를 축으로한 ZARA의 근황
Ⅱ. 본 론
1. 기업소개 및 연혁
2. ZARA의 Business Model
3. ZARA의 성공비결
① 디자인과 가격경쟁력
② 시장기반 마케팅 전략
③ Value Chain
④ 신속반응 시스템 QR(Quick Response)
⑤ 패스트 패션으로서의 ZARA
4. ZARA관련 신문기사

Ⅲ. 결 론

참고자료



본문

③ Value Chain

value chain이란?
-고객에게 제공 될 가치를 창출하는 활동/기능/프로세스

포터의 value chain 모형을 통해서 기업이 부가가치를 창출하는 과정을 그림으로 볼 수 있다. value chain은 주활동(primary activities)과 지원활동(support activities)로 나눠볼 수 있는데 여기서 주활동은 제품의 생산운송마케팅판매물류서비스 등과 같은 현장업무 활동을 의미하며, 지원활동은 구매기술개발인사재무기획 등 현장활동을 지원하는 제반업무를 의미한다. 주활동은 부가가치를 직접 창출하는 부문을, 지원활동은 부가가치가 창출되도록 간접적인 역할을 하는 부문을 말한다. 패션업체의 value chain은 염색, 끝손질 등 세부공정이 많아 비교적 복잡한 편인데 시간이 지남에 따라 인터넷을 통한 네트워크로 value chain내의 기업의 핵심적인 부문에만 주력하고 나머지는 아웃소싱에 의존하는 것이 일반적이었다.

- 70년대 중반 Benetton의 value chain 혁신 -
그림에서 흰색부분이 아웃 소싱을 의미하는데 Benetton은 이전까지의 value chain과는 달리 원자재 구매, 염색, 품질 관리를 제외한 대부분 요소를 아웃소싱에 의존함으로써 value chain내의 위험을 분산 시켰다. 이러한 value chain을 통해서 위험 분산의 효과와 비용절감을 이룰 수 있겠지만 한 편으로는 지나치게 아웃소싱에 의존함으로써 value chain 내의 의사결정 속도가 저하되어 결국 고객의 요구에 즉각적으로 반응하기에는 무리가 있었다.

- Zara의 등장 -

<흰 색 부분이 아웃소싱>

zara의 value chain을 보면 새롭다기보다는 오히려 예전의 value chain의 모습을 보여주는데, 바느질 조합 부분을 제외하고는 아웃소싱에 의존하지 않는 것을 볼 수 있다. 이러한 value chain은 빠르게 변화하는 21세기의 소비자의 욕구를 즉시 파악하여 제품 생산으로 이어지기까지의 공정을 빠르고 세련되게 함으로써, 후발주자인 zara의 강력한 경쟁력을 갖게 된 가장 중요한 동력이라고 할 수 있다. 하지만 이렇게 value chain을 구축함으로써 아웃소싱을 활용하지 않는 것이 과연 최선의 선택인가에 대해서는 선뜻 동의하기 힘들다. zara는 여기에 도요타 생산방식이라는 시스템을 응용하고 있다. 린(lean)이라고도 불리는 도요타의 생산방식은 공급업체(하청업체)와의 유기적인 관계가 핵심이라고 할 수 있다. 적량의 부품을 적시에 생산라인에 투입함으로써 재고회전율을 높이는 데는 공급업체의 협력이 필요하다. zara는 염색, 재단,


본문내용

① 디자인과 가격경쟁력
② 시장기반 마케팅 전략
③ Value Chain
④ 신속반응 시스템 QR(Quick Response)
⑤ 패스트 패션으로서의 ZARA
4. ZARA관련 신문기사
Ⅲ. 결 론
참고자료
패션브랜드 ZARA의 성공마케팅 전략분석
Ⅰ. 서 론
최근 매장이 대형화되면서 의류업체 등이 종전 프렌차이즈 형태에서 직영점 체제로 변화를 시도하고 있다. 패션전문점 확산과 더불어 합리적인 가격의 중요성이 대두되면서 직영 또는 반 직영 체제의 유통망 SPA(speciality retailer of private label apparel) 형태의 점포가 거리를 덮고 있다.
SPA란?
미국 청바지 회사 갭이 1986년 도입한 개념으로서, 전문점(speciality retailer)과 ‘자사상표’(p

참고문헌
참고자료
비즈넷 타임즈 2004년 11월 09일 103호, 유럽 패션시장의 새로운 강자, ‘ZARA’의 마케팅 전략 - 오늘의 고객 반응이 보름 후의 신제품으로 탄생(이대의)
GLOBAL BRAND, 브랜드메이저, 새로운사람들
한국의류산업협회 www.kaia.or.kr
ZARAwww.zara.com
동아일보 www.donga.com
매일경제 www.mk.co.kr
한국경제 www.hankyung.com
http://cafe.naver.com/minip/80
http://blog.naver.com/rororicx/80023379350
http://blog.naver.com/taoyan521/23370313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