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3년 11월 7일 목요일

생명윤리 자살을 바라보는 관점

생명윤리 자살을 바라보는 관점
[생명윤리] 자살을 바라보는 관점.hwp


목차
차례


1. 자살의 정의

2. 자살을 바라보는 관점
2.1 자살에 대한 세 가지 철학적 관점
2.2 자살을 바라보는 일반적인 관점의 역사적 변화

3. 교재 내용 요약
3.1 서론
3.2 자살의 손익
3.3 자살의 도덕적 정당성
3.4 결론

4. 자살을 찬성하는 입장

5. 자살을 반대하는 입장

6. 우리 조의 결론

7. 그 외의 고찰

8. 참고 문헌


본문
3.3 자살의 도덕적 정당성

(1) 초월적 존재나 섭리는 자살을 금지하는가?

견해의 대립 :① 자살을 금지한다는 입장
⒜ 유일신을 믿는 종교에서는 인간의 생명은 신에 의하여 부여된 선물이므로 그것을 박탈할 권리도 신에게만 존재한다. ⒝ 인생형벌론: 인간의 삶은 인간에게 선물로 주어진 것이라기보다는 견뎌내야 하는 것으로 주어졌다. 그러므로 이를 어기어 자살을 하게 되면 사후 고통을 받게 된다.
② 자살을 금지하는 것이 불분명하다는 입장
⒜ 우선 인간에게 자살을 금지하는 신이나 초월적 섭리 같은 것이 존재하는지 의문스럽다. ⒝ 신이나 초월적 섭리 같은 것이 존재한다고 하더라도 그 존재가 자살을 금하는 것이 분명한지는 의문이다.
결론: ① 자살을 금지한다는 입장에 대해서 주장이 근거로 내세우는 선물론이나 형벌론 모두 객관적으로 증명이 힘들고 이성적으로 판단하더라도 그럴듯하지 않다.
② 하지만 거꾸로 초월적인 존재나 섭리가 자살을 금지했을 가능성도 완전히 배제하기는 어렵다. ⒜ 초월적 존재나 섭리는 이성으로 파악할 수 없는 더 깊은 차원의 이유 때문에 자살을 금지시켰을 가능성이 여전히 존재한다. ⒝ 현재까지의 이성적 탐구가 충분하지 못할 가능성도 존재한다.

(2) 자살도 살인인가?

견해의 대립: ① 자살 또한 일종의 살인이라는 견해 : 자살과 살인은 그 대상이 자신이냐 다른 사람이냐에 따라 구분되는 것일 뿐 생명을 훼손하는 측면에서 동일하다.
② 자살과 살인은 구분된다는 견해 : 나와 남이 엄연히 다른 만큼 자살과 살인은 구별된다.

논의의 전제: 자기 집과 달리 남의 집으로 들어가면 주거침입이 되고, 자기 물건과 달리 남의 물건을 가져가면 절도가 되는 것은 윤리적 관점에서 나와 남이 근본적으로 다른 존재이기 때문이 아니라 행위의 결과가 다르게 나타나기 때문이다. 따라서 자살이 살인과 달리 잘못된 행위인지 여부도 나와 남에게 피해를 발생시키는지 여부에 따라 판단해야 한다.



본문내용
사적 변화
3. 교재 내용 요약
3.1 서론
3.2 자살의 손익
3.3 자살의 도덕적 정당성
3.4 결론
4. 자살을 찬성하는 입장
5. 자살을 반대하는 입장
6. 우리 조의 결론
7. 그 외의 고찰
8. 참고 문헌
1. 자살의 정의
자살이란 흔하게 자기 자신의 목숨을 스스로 끊어 생을 마감하게 하는 행동을 의미한다. 현대 사회가 대두되고 공동체보다는 개인 위주의 삶이 늘어갈수록, 스스로의 목숨을 개인이 임의대로 처리할 수 있는 풍조가 증가하고 타인에게 주는 관심과 그들과 공유하는 시간이 줄어들고 있다. 따라서 자살의 사례가 증가하는 추세이고 본 발표에서 자살이라는 주제를 진지하게 다루고 있는 것이 그와 무관하지 않을 것이다. 죽음은 많은 사람들이 두려워하는 대상임이 틀림없다. 대상자에게

참고문헌
8. 참고 문헌

[1] 구영모 외, 생명 의료 윤리, 2010, 동녘.
[2] 이진홍, 자살, 2007, 살림.
[3] 위키백과 ‘자살’. http://ko.wikipedia.org/wiki/%EC%9E%90%EC%82%B4]
[4] 피터 싱어, 실천 윤리학, 1991, 철학과 현실사
[5] 에밀 뒤르켐, 자살론, 1994, 청아출판사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