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3년 11월 7일 목요일

광고 속의 기호학 읽기, 스무살의 실존 TTL

광고 속의 기호학 읽기, 스무살의 실존 TTL
광고 속의 기호학 읽기, 스무살의 실존 TTL.hwp


목차
목 차

1. 스무살의 실존- TTL

1) 탈정치화의 1세대 청년, N세대

2) 마케팅이붙여준 최초의 세대명, TTL족

2. 기표와 기의 (1차적 의미 분석)

3. 외시와 공시 & 신화

4. 계열체와 통합체

5. TTL 광고의 표현 전략

6. TTL 시리즈의 주된 기표들이 형성하는 신화와 한계점

7. 출처 및 참고 문헌



본문


◆ 소녀가 귀를 막자 사라지는 물방울 소리.◆ 소녀가 귀를 막고 있는 손을 놓자 물방울 소리가 다시 크게 들림.


◆ 광고의 배경, 소품 및 모델 자체를 신비화함.
◆ 강한 물방울 소리는 새로운 생명의 태동과 생동감을 의미.
◆ 강하게 들리는 물방울 소리에 귀를 막는 행위는 고통을 피하려는 행위임. 그러나 귀를 막고 있는 손을 놓으면 다시 강하게 물방울 소리가 들림. 이것은 그들이 피할 수 없는 고통, 괴로움 즉 개인의 개성을 중시하는 그들에게 학교나 규칙, 제도는 익숙하지 않은 고통이고 잠시 그 고통으로부터 해방은 될 수 있으나 완전히 그것으로부터 피할 수 없다는 것을 의미함.
◆ 그러나 여기서 강한 물방울 소리는 주위를 집중시키고 있으며 긴장감이 유발됨. 이것은 새로운 탄생을 위한 징후로 해석 가능함.


◆ 소녀가 고개를 돌리자 , 네모난 깨어진 어항 속에 조명이 들어오고 소녀는 일어나서 다시 어항 쪽으로 다가가서 어항 속을 바라보고 있는 모습.

◆ 틀에 박힌 조직에서의 생활에 대한 일탈.
◆ 규격화된 일상으로 상징되는 어항이 이제 갓 성년으로 접어든 소녀의 앞에서 깨어져 있는 것은 획일적인 기존 세대들의 틀에서 벗어나려는 욕망을 대변함.

◆ 깨어진 어항에서 깨어져 있다는 것은 새로운 세계로의 시도, 즉 구속으로부터 탈출구를 의미하거나 새로운 탄생의 신화를 의미함.


◆ 다시 화면이 이동하면서 강한 물방울 소리에 박제된 물고기가 클로즈업 되고 이때 물고기가 살아서 거꾸로 움직임. (초현실적 이미지)
◆ 소녀는 움직이는 물고기를 바라보고 있다가 잡으려는 몸동작을 하고 물고기는 도망을 가는 모습.

◆ 물고기를 잡으려는 몸짓은 소녀는 자유의 상징적 몸짓임.
◆ 박제된 물고기는 스무 살이 되기까지 억눌렸던 자아를, 깨진 어항과 공중을 나는 물고기는학교라는 닫힌 공간을 벗어난 자유를 상징화함. 물고기의 움직임은 새로운 생명의 탄생을 의미하며 이것은 획일적인 사고나 생활은 박제된 물고기와 같이 비유되어 개인의 개성이 전혀 없는 로봇과 같은 수동적, 타의적인 것에서 벗어나 능동적이고 자의적이며 개성이 살아남을 의미함.
◆ 물고기의 움직임은 기성세대의 획일적인 시각에서 벗어나 그들의 기준으로 세상을 바라보는 새로운 시각의 탄생 신화를 의미함.
◆ 살아서 움직이는 물고기를 잡으려는 몸짓은 자유의 상징적인 몸동작으로써, 새로운 탄생, 새로운 시각에 대한 갈망으로 자유에 대한 추구라는 신화가 내재됨.


◆ 이때 강한 음향효과와 함께 소녀가 물위를 오르고 물방울이 피어오르는 화면이 연출됨.

◆물속을 솟아오르는 소녀는 성인으로서의 새로운 탄생을 의미함.
◆ 물속을 오르는 소녀는 탄생을 의미함.
◆ 물방울은 새로운 탄생에 대한 징후, 신비스러움의 시각적 효과이며 물속을 수직 상승하는 장면은 획일적인 시각으로부터 탄생을 의미함. 즉, 탄생의 신화가 내재됨.


◆ 다시 화면은 네모난 방에 옆으로 서서 바라보고 있는 소녀 상반신이 나타나는 모습. ◆ 소녀는 고개를 돌리자 이동전화기 벨이 울리고 소녀는 깨어진 어항 속으로 이동전화기를 바라봄.
◆ 스무 살은 불안함과 불완전함 속에 자기정체성을 찾아가는 나이이므로 불완전함과 불안, 구속으로부터 해방돼 자유를 찾으려는 신세대의 심리를 대변한다고 할 수 있음.
◆ 신세대답게 적극적으로 핸드폰, 즉 자유라는 대상에
다가가는 모습을 통해 광고 수용자의 감정을 소녀에게 이입하게 하려는 의도임을 알 수 있음.
◆ TTL 브랜드가 찍혀 있는 이동전화기는 TTL브랜드의 탄생 신화를 직접 보여줌.




◆ 깨어진 어항 사이로 바라보는 소녀의 모습과 어항에 비춰진 소녀의 얼굴.
◆ 틀에 박힌 생활에서 탈피하기 위한 방법으로 자유로 상징되는 핸드폰.
◆ 소녀의 비춰진 얼굴은 핸드폰 즉, 자유를 추구하는 욕구가 투영됨.
◆ 소녀가 바라보는 장면은 수용자의 TTL에 대한 호기심을 나타내며, TTL 이라는 자유 탄생의 신화가 표현됨.



◆ 깨어진 어항 속 핸드폰을 클로즈업하여 보여줌.
◆ 광고 문구 스무 살의 011.
◆ 어항 속 자유로 상징화되는 핸드폰은 소녀에게 하나의 유혹임.
◆ 스무 살의 011이라는 문구를 통해 틀에 박힌 일상에서 자유를 얻고 싶다면 TTL 핸드폰을 구입하라는 간접적 광고를 하고 있음.
◆ 어항과 같이 틀에 박힌 생활 , 구속으로부터 TTL, 즉 새로운 것에 대한 갈망과 자유에 대한 몸부림을 나타냄. 다시 말해, TTL 이라는 자유 탄생의 신화가 표현됨.



본문내용
통합하는 소리들이 쏟아져 나왔고, 동시에 그들을 압구정동 오렌지족이란 특화된 이름으로 칭하면서 소비문화집단의 중심으로 비추려는 시각이 나타났다. 특히 90년대 청년문화는 인터넷이라는 미디어의 탄생과 더불어 새로운 양상을 띠게 된다. 이전과는 달리 그들은 넷(net)이라는 사이버 신경망으로 연결된 세대이다.
2) 마케팅이붙여준 최초의 세대명, TTL족
그 어느 세대보다 휴대폰 보유율이 높은 세대인 2000년대의 20대, 가장 소중한 장난감인 휴대폰을 통해 자신의 정체성을 확인하는 키덜트인 이들 TTL족은 이전의 20대 청년세대들과는 확연히 구분되는 종족임에는 틀림없다. TTL 광고는 그 점을 파고든다. “2000년대의 20대는 무슨 열병을 앓고 있을까?”, “새로운 정치사회 환경을 맞이한 대한민국 20대의 맘

참고문헌
7. 출처 및 참고 문헌


광고에 나타난 포스트모던 페미니즘 현상에 관한 고찰 : 국내 애드무비를 중심으로. 김미연. 홍익대 산업미술대학원. 2009
감성마케팅으로 인한 TV광고 변천 연구 : 1997년부터 ~ 2006년까지. 이경미. 강원대 대학원. 2008
광고의 서사구조에 나타난 신화적 가치체계에 관한 연구 : C. Levi-Stauss의 신화이론과 A.-J. Greimas의 서사이론을 중심으로. 엄창호. 홍익대 대학원. 2005
광고 해석에 관한 기호학적 연구. 김동성. 목원대 언론광고홍보대학원. 2005
광고 텍스트 읽기쓰기 교수-학습 방법 연구 : 매체언어의 의사소통 기능을 중심으로. 김근하. 춘천교육대 교육대학원. 2005
영상 매체 텍스트 비판적 읽기 방법 연구 : 텔레비전 광고 텍스트 수용 과정을 중심으로. 하숙자. 한국교원대 대학원. 2003
기호학의 측면에서 본 디지털 기호의 분석방법에 관한 연구 : 모바일 컨텐츠 사이트를 중심으로. 이정임. 인제대 대학원. 2003
텔레비전 신세대 광고에 나타난 주체구성과 정체성에 관한 연구 : TTL 이동통신 광고의 의미분석을 중심으로. 임소현. 부산대 대학원. 2001
N세대 소구 광고의 시각적 의미체계에 관한 기호학적 연구 : 휴대폰인터넷 통신광고 중심으로. 윤혜진. 동덕여대 디자인대학원. 2001
포스트모던 광고와 한국의 신세대 문화. 김정훈. 부산대 대학원. 2001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