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3년 12월 9일 월요일

화폐빅셀의 화폐적 균형화폐의 의의, 화폐의 종류, 화폐의 수요함수이론, 화폐의 발행규모, 화폐의 가치흐름, 화폐와 빅셀의 화폐적 균형

화폐빅셀의 화폐적 균형화폐의 의의, 화폐의 종류, 화폐의 수요함수이론, 화폐의 발행규모, 화폐의 가치흐름, 화폐와 빅셀의 화폐적 균형
화폐의 의의, 화폐의 종류, 화폐의 수요함수이론, 화폐의 발행규모.hwp


목차
Ⅰ. 개요

Ⅱ. 화폐의 의의

Ⅲ. 화폐의 종류
1. 10원
2. 50원
3. 100원
4. 500원
5. 1천원권
6. 5천원권
7. 1만원권
8. 5만원권

Ⅳ. 화폐의 수요함수이론

Ⅴ. 화폐의 발행규모

Ⅵ. 화폐의 가치흐름
1. Scondary flow : [royalty sectors}
2. 임금으로부터의 이전, 그리고 잉여가치율의 조정
1) 가치측면에서의 잉여가치율
2) 사용측면에서의 착취율
3. 개방경제에서의 국제적 가치이전
4. 비자본주의적 활동과 불법행위

Ⅶ. 화폐와 빅셀의 화폐적 균형

참고문헌

본문
Ⅰ. 개요
슈미트(B.Schmitt)와 샹시니(A.Cencini)로 대표되는 디종학파(Dijon School)는 단지 은행의 부채일 뿐인 화폐가 어떻게 자신의 화폐적 기능을 국민경제 내에서 완수할 수 있는가 그리고 화폐의 기능수행과 관련하여 국제경제는 국민경제와 어떤 차이점이 존재하는가라는 문제를 제기하고, 이런 질문에 대한 해결이 존재하지 않는다면 국민적 화폐의 국제적 사용이 정당화될 수 없다고 주장한다.
슈미트와 샹시니는 국민적 통화의 국제적 사용과 관련된 일반적인 견해들이 (은행)화폐를 상품화폐제도의 개념인 순자산 또는 실물재화로서 인식하고 있다고 비판하면서, 대신에 은행화폐는 그 자체로서는 최소한의 구매력도 갖지 않고, 다만 운송수단적(vehicular) 본성을 갖는 “부채-자산”으로서 파악한다. 이들은 이런 성질을 갖는 화폐가 국민경제 내에서 지불수단과 계산단위로서 충분히 기능할 수 있는 근거는 바로 국민경제가 생산경제(즉 소득창조경제)이기 때문이라고 주장한다. 화폐는 생산과정에 투입되고, 새로운 생산물에 화폐적(산술적) 형태를 제공함에 따라 이질적인 재화와 서비스들로 구성된 생산물을 동질화시키면서, 경제적 의미가 있는 (화폐)소득으로 변환시킨다. 또한 이런 과정(화폐통합(integration))을 통해, 0의 구매력을 가진 화폐는 생산물에 대한 통합 또는 일치(correspondence)의 관계를 통해 구매력을 획득하게 되고 지불수단으로서 기능할 수 있게 된다.
반면에 국제경제는 어떤 超국민적 생산도 존재하지 않고 따라서 새로운 소득창조도 없는 순수한 교환경제라고 할 수 있다.

본문내용
2. 50원
3. 100원
4. 500원
5. 1천원권
6. 5천원권
7. 1만원권
8. 5만원권
Ⅳ. 화폐의 수요함수이론
Ⅴ. 화폐의 발행규모
Ⅵ. 화폐의 가치흐름
1. Scondary flow : [royalty sectors}
2. 임금으로부터의 이전, 그리고 잉여가치율의 조정
1) 가치측면에서의 잉여가치율
2) 사용측면에서의 착취율
3. 개방경제에서의 국제적 가치이전
4. 비자본주의적 활동과 불법행위
Ⅶ. 화폐와 빅셀의 화폐적 균형
참고문헌
Ⅰ. 개요
슈미트(B.Schmitt)와 샹시니(A.Cencini)로 대표되는 디종학파(Dijon School)는 단지 은행의 부채일 뿐인 화폐가 어떻게 자신의 화폐적 기능을 국민경제 내에서 완수할 수 있는가 그리고 화폐의 기능수행과 관련하여 국제경제는 국민경제

참고문헌
김양우(1995) - 권종별 화폐수요 분석, 경제분석, 제1권 제3호, 한국은행
박상우(1994) - 화폐 생산 경제의 내생적 화폐 순환 과정 - Post Keynesian의 화폐론을 중심으로, 고려대학교 경제학과 석사학위논문
손동우(1995) - 화폐의 기원과 진화에 관한 연구 : 화폐의 기능들을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경제학과 석사학위논문
유종권(1993) - 현대자본주의와 화폐형태의 동학 : 조절학파 화폐이론을 중심으로, 한국 사회경제학회 발표문
이원경(1986) - 사회주의 화폐제도, 평양 : 사회과학출판사
좌승희(1989) - 금융구조변화와 화폐제도의 안정성 : 신화폐경제학 및 그 시사점에 대한 고찰, 한국개발연구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