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3년 11월 7일 목요일

교원평가제 반대

교원평가제 반대
교원평가제 반대.pdf


목차
목차
1. 교원평가제의 개념과 목적
2. 2010년부터 본격 시행된 교원평가제
3. 분석의 틀(갈등론)
4. 교원평가제의 문제점
1) 원인상의 문제: 교육 문제 원인 파악의 오류
2) 과정상의 문제: 정책 입안 과정에서의 비민주성
3) 결과상의 문제: 여러 가지 부작용
5. 결론

본문
교원평가제의 목적
– 교사의 교육활동 전반에 대한 전문성 진단,
결과에 따른 능력개발 지원
– 교사가 자신의 교육활동 전반을 새로운 관점에서
검토, 분석할 수 있도록 자기 발전에 필요한 자료 제공
– 공정하고 타당한 평가 실시 및 결과 활용을 통해
교원의 지속적인 능력개발 유도
– 교사의 전문성 신장을 지원함으로써
학교 교육의 질 향상 및 구성원의 만족도 향상을 통해
공교육에 대한 신뢰 제고

전국의 평가대상 학교 총 11,406개교 중 사립 특수학교 등 3개교를
제외한 11,403개교가 평가 참여. (*전북 103개교는 시행 중단)
• 학부모의 경우 총 669만명 중 54%인 363만명이 만족도 조사에 참여
하였으며, 학생은 80%가, 교원의 89%가 평가자로 참여

부모들의 과도한 욕심이
전세계 어디에서도 찾아보기 힘든 사교육을 탄생시켰고
학벌을 통한 사회적 신분 상승 욕구가
사교육 시장을 키워온 것이지,
결코 공교육이 붕괴 돼서 사교육이 성장한 것은 아니다.
소위 명문대 진학을 위해서만 올인하는 학원과
교육의 본질을 논하는 공교육을 단순 비교해서는 안 된다.
교원평가의 시작이 교원전문성 신장의 하나가 아니라
사교육비 경감대책으로 나왔다는 것이 큰 문제다.




본문내용
상의문제: 교육문제원인파악의오류
2) 과정상의문제: 정책입안과정에서의비민주성
3) 결과상의문제: 여러가지부작용
5. 결론

1. 교원평가제의개념과목적
교원평가제
교원의전문성신장에 목적을두고
교원들이자신의능력을스스로진단하고
개선하기위하여동료교원에게수업평가를받고,
학생과 학부모의 만족도를확인하는것이다.

1. 교원평가제의개념과목적
교원평가제의목적
교사의교육활동전반에대한전문성진단,
결과에따른능력개발지원
교사가자신의교육활동전반을새로운관점에서
검토, 분석할 수 있도록자기발전에필요한자료제공
공정하고타당한평가실시및결과활용을통해
교원의지속적인능력개발유도
교사의전문성신장을지원함으로써
학교교육의질향상및구성원의만족도향상을 통해
공교육에 대한신뢰제고

2. 2010년부터시행된교원평가제
전국의평가대상학교총 11,406개교중 사립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