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3년 11월 7일 목요일

산업심리 작업동기

산업심리 작업동기
[산업심리] 작업동기.pptx


목차
1.작업동기의 개념
2.작업동기의 이론들
기대이론
목표설정이론
자기조절이론
작업설계이론
새로운 동기이론
3. 작업동기 이론들의 개관, 통합
4. 동기전략의 응용


본문
- 행동: 동기를 추론할 수 있는 활동으로다양한 인간 활동들을 포함.
- 수행: 행동에 대한 평가를 포함. 수행은 행동에 대한 평가를 통해 결정됨.

능력: 개인이 안정적으로 지니고 있는 것이며개인이 무엇을 할 수 있는지를 나타냄.
- 상황적 제약조건: 행동을 촉진하거나 저해하는 환경적 요인이나 기회.
개인의 행동은 개인의 통제 밖에 있는 환경적 또는 상황적 맥락 속에서일어나며, 이러한 환경적 요인들은 수행에 영향을 미침.
- 동기: 개인이 어떤 것을 하고자 하는 의지를 나타냄.


목표의 2가지 전제조건
개인이 목표를 알고 있어야 하고, 또한 무엇을 성취해야 하는지를 알고 있어야 함
개인이 목표를 기꺼이 달성할 수 있다고 받아들여야 함
목표설정이론에 따른 동기 및 수행 유발 요건
목표의 난이도 : 보다 어려운 목표가 더 높은 수준의 직무수행을 유발(목표에 대한 몰입 = 목표의 난이도)
목표의 구체성 : 보다 구체적인 목표가 주어질수록 더 많은 노력을 기울이게 됨
피드백 : 수행을 더 열심히 해야 할지 또는 지금과 같은 정도의 노력을 유지해도 되는지를 알려줌


개인이 자신의 행동을 스스로 관찰하고, 피드백을 얻고자 하고, 피드백에 반응하고, 미래에 자신이 성공할 가능성에 대하여 스스로 의견을 형성하는 데 있어서 적극적인 역할을 한다는 것을 시사함.

자기조절 이론은 개인이 어떻게 동기를 지니게 되는지, 왜 꾸준히 목표를 추구하는지를 이해하기 위한 개념적 기초를 제공해 줌.



본문내용
관, 통합
4. 동기전략의 응용

#1 작업동기의 개념

작업동기는 작업에 대한 동기 과정으로
“ 개인의 작업관련 행동을 일으키며,
작업 관련 행동의 형태, 방향, 강도, 지속기간을
결정하는 역동적 힘의 집합으로
개인 내에서 자생적으로 발생할 수도,
외부 자극에 의해 발생할 수도 있다.”
By Pinder(1998)
1. 작업동기의 개념
* 작업동기란?
우승균, 임혜리, 정지윤, 차현경
산업심리_작업동기 발표

1. 작업동기의 개념
* 작업동기의 3요소
우승균, 임혜리, 정지윤, 차현경
산업심리_작업동기 발표
Direction
Intensity
Duration
작업동기
방향
: 우리가 기울여야 하는 노력의 방향성
강도
: 노력의 필요성에 따라
우리가 실제로 기울이는 노력의 강도
지속기간
: 동기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