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3년 6월 2일 일요일

교육학 김유정 `금 따는 콩밭` 작품 분석 및 평가

교육학 김유정 `금 따는 콩밭` 작품 분석 및 평가
[교육학] 김유정 `금 따는 콩밭` 작품 분석 및 평가.ppt


목차
I. 김유정의 생애
II. 김유정의 작품세계
1. 김유정 문학특성에 따른 작품 분류
2. 김유정 작품의 전반적인 특성
3. 문체적 특성   
III. 「금 따는 콩밭」 작품 분석
1. 작품소개
2. 인물분석
3. 작품 속에 반영된 식민지 현실
4. ‘금 따는 콩밭’에 반영된 김유정 문학의 해학성
IV. 「금 따는 콩밭」 에 대한 평가
1. 문단의 평가
2. 우리들의 평가
V. 참고문헌 목록


본문
2.김유정의 작품세계
2.김유정 작품의 전반적인 성격
1)식민지 현실인식

1930년대 : 일제의 식민통치
농민의 삶의 문제가 사회 전반의 표면으로 부상해 있던 시기

김유정은 농촌사회 전반으로 식민지 치하에서
궁핍한 생활을 면치 못하는 농민들의 삶에 주목

궁핍상의 표면을 제시함과 동시에 이러한 궁핍상이
진행될 수밖에 없는 구조적 모순을 소설의 구조로 변용시킴

판소리를 포함하는 조선시대 평민소설의 문체 차용
+
독특한 소설미학

섬세한 심리묘사 방법과의 조화
해학을 통해 당대 사회의 하층민이 겪는 삶의 고통 정화
제도화된 사회의 모순 구조 폭로


본문내용

III. 「금 따는 콩밭」 작품 분석
1. 작품소개
2. 인물분석
3. 작품 속에 반영된 식민지 현실
4. ‘금 따는 콩밭’에 반영된 김유정 문학의 해학성
IV. 「금 따는 콩밭」 에 대한 평가
   1. 문단의 평가
2. 우리들의 평가
V. 참고문헌 목록

I. 김유정의 생애
★ ‘김유정’ 그는 누구인가?
1) 연보
탄생
안회남의 권고로
소설을 씀
야학당 개설
「정분」「만무방」「애기」「노다지」
「소낙비」 탈고
1935年
1936年
1월부터 8월까지
9편의 소설과 4편의 단편 발표
1937年
1938年
3월 29일, 사망
1908年
1930年
1931年
처녀작「심청」
을 탈고
1932年
1933年
공식 처녀작「산골 나그네」를 발표
「총각과 맹꽁이」 탈고
1934年
조선

참고문헌
김유정 문학촌, http://www.kimyoujeong.org.
김유정 탄생 100주년 기념 사업 추진 위원회, 『한국의 웃음문화』, 소명출판, 2008.
전신재, 『김유정 문학의 전통성과 근대성』, 한림대학교 출판부, 1997.
유인순, 『김유정을 찾아가는 길』, 솔과학, 2003.
박세현, 『김유정의 소설세계』, 국학자료원, 1998.
전신재, 『김유정 문학의 전통성과 근대성』, 한림대학교 아시아문화연구소, 1997.
선은주, 「1970년대 한국 농촌소설 연구 : 이문구, 오유권, 방영웅을 중심으로」,
경원 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6.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