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3년 6월 16일 일요일

한국언론사 언론 모니터 운동 연구

한국언론사 언론 모니터 운동 연구
[한국언론사] 언론 모니터 운동 연구.pptx


목차
*서론언론모니터운동의 정의와 필요성

*본론 Ⅰ. 과거의 언론모니터운동 사례분석
ⅰ) KBS 시청료 거부운동
ⅱ) TV끄기 운동
Ⅱ. 현재의 언론모니터운동 사례분석
ⅰ) 조선, 중앙, 동아일보 불매운동
ⅱ) ‘오 마이 뉴스’자발시청료 내기 운동
ⅲ) 한겨레 신문・경향신문 격려성 광고
Ⅲ. 과거와 현재 언론모니터운동의 차이점과 공통점

*결론앞으로 언론모니터운동이 나아가야 할 방향(





본문
◈조선일보
① 조선일보는 1986년 4월 5일자 사설을
통해 ‘시청료 거부운동’ 관련 기사를
처음으로 언급

◈조선일보
② 주요 논지:중립(사설 내용 참조)
시청자 거부운동이 소극적 거부감을
느끼던 사람까지도 영향을 끼쳐 이 운동에 편승하게 만들 수 있다는데 우려
(그 근거로 "KBS입장에서 시청료는 합당하게 법률에 의해 징수되고 있으며, 그들의
보도행위가 편파보도나 왜곡된 보도 행위라고 판단하지는 않을 것이다.")

결국 이러한 시청료 거부운동 현상이
사회적 쟁점으로 현재 나타나고 있는 만큼 합리적인 해결방법을 모색해야 한다. 라고 논지를 펴고 있다.


본문내용
언론모니터운동 사례분석
ⅰ) 조선, 중앙, 동아일보 불매운동
ⅱ) ‘오 마이 뉴스’자발시청료 내기 운동
ⅲ) 한겨레 신문경향신문 격려성 광고
Ⅲ. 과거와 현재 언론모니터운동의 차이점과 공통점
*결론 앞으로 언론모니터운동이 나아가야 할 방향(

과거) KBS 시청료 거부운동
*
◈조선일보
① 조선일보는 1986년 4월 5일자 사설을
통해 ‘시청료 거부운동’ 관련 기사를
처음으로 언급

과거) KBS 시청료 거부운동
*
◈조선일보
② 주요 논지:중립(사설 내용 참조)
시청자 거부운동이 소극적 거부감을
느끼던 사람까지도 영향을 끼쳐 이 운동에 편승하게 만들 수 있다는데 우려
(그 근거로 "KBS입장에서 시청료는 합당하게 법률에 의해 징수되고 있으며, 그들의
보도행위가 편파보도나 왜곡된 보도 행위라고 판단

참고문헌
*저서
《언론 모니터 이해와 활용》. 커뮤니케이션 북스. 임동욱(1998)
《시민의 힘으로 언론을 바꾼다》. 언론개혁시민연대. 강명구(1999)
《언론권력의 마지막 몸부림》. (사)민주언론운동시민연합. (2001)
《시청자 주권과 시청자 운동》. 한나래. 김기태(2004)
《언론의 자유와 책임》. 한울아카데미출판사. 장호순(2004)
《한국 언론 수용자 운동사》. 한나래. 채백(2005)
《시민미디어론》. 아르케. 최영묵(2005)
《미디어 독점》. 한울. 장행훈(2009)

*논문
한국의 언론 수용자 운동. 한국언론연구원. 김기태(1994)
한국 시민언론운동의 성격과 방향정립을 위한 시론적 논의. 한국언론학회. 임동욱(1995)
21세기형 시민언론운동의 새로운 모색. 언론개혁시민연대. 류한호(1999)
시민운동으로서의 언론운동: 평가와 방향 모색. <방송연구> 제 48호. 안정임(1999)
90년대 시민언론운동 점검. <저널리즘> 통권 40호. 원용진(1999)
시민언론단체의 텔레비전 모니터 활동과 그 수용에 관한 비판적 연구. 우승현(2001)


*논문
언론수용자운동과 사회운동 측면에서 고찰한‘안티조선운동’에 관한 연구. 정정일(2002)
미디어 교육 전문가 양성 프로그램에 관한 연구. 정은경(2005)
신문보도와 비평에 나타난 신문보도 비평관련 기자의 의식조사. 한국언론재단(2006)
지역시민언론운동의 평가와 과제. 우희창(2006)

네이버 뉴스 라이브러리 http://newslibrary.naver.com/search/searchByDate.nhn
조선닷컴 http://www.chosun.com/
동아닷컴 http://www.donga.com/
제3부 언론개혁 해법 ⑥시리즈를 마치며 http://play987.blogspot.com/2011/08/3.html
[시민단체] 민주언론운동시민연합 http://kr.blog.yahoo.com/tla87/135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