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3년 6월 2일 일요일

교육학 학교학습의 부적응, 학습부진 상담 사례 분석

교육학 학교학습의 부적응, 학습부진 상담 사례 분석
[교육학] 학교학습의 부적응, 학습부진 상담 사례 분석.docx


목차
3. 학교학습의 부적응: 학습부진
4. 학업 상담 프로그램 : 학습 전략


본문
3. 학교학습의 부적응: 학습부진
1)학습부진에 대한 탐색적 접근
‘학습부진’의 일반적인 정의
한 개인이 특정한 영역에서 제대로 하지 못하거나, 기대했던 것보다 잘하지 못할 때 통상적으로 쓰이는 포괄적인 용어

‘학습부진’과 유사 개념과의 비교
용어개념
학습지진지적 능력의 저하로 인해 학업성취가 떨어지는 아동을 일컬음
지능수준 하위 3~25%/ 지능지수 약 75~90
학업 저성취잠재적 능력수준이나 지적 능력 고려하지 않고, 결과로서 나타난 학업성취수준에서 하위집단에 속하는 아동을 일컬음 (하위 5% 혹은 20%의 성취수준)
학업지체국가적으로 혹은 지역적으로 규정된 학년, 학기의 학습목표를 달성하지 못하여 뒤쳐지는 아동을 지칭
학습부진학업 영역에서 나타나는 학업성취수준이 학생이 지닌 잠재적인 능력(지적 능력 수준)에 미치지 못하고 현격하게 뒤떨어지는 상태. 능력-성취의 편차



학습장애정신지체, 정서장애, 환경 및 문화적 결핍과는 관계없이 듣기, 말하기, 쓰기, 읽기, 및 산수능력을 습득하거나 활용하는데 심한 어려움을 한 분야 이상에서 보이는 장애. 발달적 학습장애와 학업적 학습장애로 구분됨.
발달적 학습장애: 교과를 학습하기 전에 갖추어야 하는 신체적 기능(주의집중력, 기억력, 인지기능, 사고기능, 구어기능) 포함
학업적 학습장애: 학교에서 습득하는 학습기능 (읽기, 쓰기, 셈하기, 작문) 포함
학습장애는 특수교육 대상자로 판별, 진단과 특수교육서비스와 관련하여 생각


본문내용
적으로 쓰이는 포괄적인 용어
‘학습부진’과 유사 개념과의 비교
용어
개념
학습지진
지적 능력의 저하로 인해 학업성취가 떨어지는 아동을 일컬음
지능수준 하위 3~25%/ 지능지수 약 75~90
학업 저성취
잠재적 능력수준이나 지적 능력 고려하지 않고, 결과로서 나타난 학업성취수준에서 하위집단에 속하는 아동을 일컬음 (하위 5% 혹은 20%의 성취수준)
학업지체
국가적으로 혹은 지역적으로 규정된 학년, 학기의 학습목표를 달성하지 못하여 뒤쳐지는 아동을 지칭
학습부진
학업 영역에서 나타나는 학업성취수준이 학생이 지닌 잠재적인 능력(지적 능력 수준)에 미치지 못하고 현격하게 뒤떨어지는 상태. 능력-성취의 편차
학습장애
정신지체, 정서장애, 환경 및 문화적 결핍과는 관계없이 듣기, 말하기, 쓰기, 읽기, 및 산수능력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