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변강쇠가>의 위치 2. <변강쇠가>소개와 서사구조 2.1 이본 소개 2.2 서사구조 3. <변강쇠가>선택쇠퇴 이유 3.1 채택이유 3.2 탈락이유 4. 결론 ※ 참고문헌
본문 2.1.병강쇠가 소개 <변강쇠가>
<변강쇠타령>, <가루지기타령>, <횡부가>, <송장가> 라고도 부름
영향을 미친 설화
<음남음녀설화>, <장승동티의 민속적 금기>, <상여부착설화>, <가루지기>, <구부총설화> →단편적이고 서로 관련성을 맺을 수 없는 성질을 지님 . → 기원이나 형성의 구심으로 보기 어려움.
고수본
가람본
새터본
성두본 - 강쇠의 시신을 뎁득이가 갈아버리고 하직하는 장면과 화자의 논평이 추가
본문내용 결론 ※ 참고문헌
1.<변강쇠가>의 위치
1. 판소리사에서의 위치 판소리 17세기경에 발생한 것으로 짐작. 19세기에 비약적인 발전 → 12마당 이상이 존재 현재는 <춘향가>, <홍보가>, <심청가>, <수궁가>, <적벽가> 5마당 전해짐
4
1. 판소리사에서의 위치 5 판소리사의 전개
2.<변강쇠가>소개와 서사구조
2.1. 변강쇠가 소개 7 <변강쇠가> <변강쇠타령>, <가루지기타령>, <횡부가>, <송장가> 라고도 부름 영향을 미친 설화 <음남음녀설화>, <장승동티의 민속적 금기>, <상여부착설화>, <가루지기>, <구부총설화> → 단편적이고 서로 관련성을 맺을 수 없는 성질을 지님 . → 기원이나 형성의 구심으로 보기 어려움.
2.1. 변강쇠가 소개 8 <<성두본>> 고수본 가람
참고문헌 - 서 적 - 박관수, 한국 판소리 사설 형성연구, 국학자료원, 1996. 정병헌, 판소리 문학론, 새문사, 1998.
- 논 문 - 김종철, 19세기 판소리사와 변강쇠가, 『고전문학연구』3, 한국고전문학회, 1986. 김영주, 19세기말~20세기 판소리 변모양상 연구, 경북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2010. 박경신, 무속제의의 측면에서 본 「변강쇠가」, 서울대학교석사학위논문, 1985. 서종문, 변강쇠가 연구, 『國文學硏究』 28, 국문학연구회, 1976. 정인혁, <변강쇠가>의 구조연구, 서강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1999.
|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