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3년 10월 28일 월요일

교육학 시험(평가)에 관한 연구

교육학 시험(평가)에 관한 연구
[교육학] 시험(평가)에 관한 연구.hwp


목차
Ⅰ. 서론

Ⅱ. 본론

1. 교육평가(시험)의 정의 및 특성

2. 중, 고등학생의 시험에 관한 인식 조사

1) 조사 방법

2) 조사 결과

3. 시험에 대한 교사의 인식 및 조언

4. 시험에 관한 학생들의 생각

5. 시험(평가)이 나아가야 할 방향

Ⅲ. 결론

Ⅳ. 참고자료



본문
마지막으로 ‘시험을 잘 보려고 노력하는 이유가 무엇인가’에 대한 질문을 하였다. 중, 고등학생 모두 ‘좋은 상위 학교를 진학하기 위해서’라는 대답이 가장 많았다. 고등학생의 경우는 ‘좋은 대학교 진학을 위해서’라는 대답이 남학생 58%, 여학생 51%로 나타나 시험을 입시의 수단으로 생각하는 경향이 반영되었다. 반면 중학생들은 ‘좋은 고등학교, 대학교 진학을 위해서’라는 대답이 30% 내였으며, 고등학교 학생들이 대답하지 않았던 ‘부모님께 혼나지 않기 위해서’라는 대답이 많았다. 중학교 여학생의 22%가 부모님을 이유로 들어 중학교 남학생 보다 11% 높은 수치를 보였다. 이는 어린 학생들이 경우 주변의 기대에 의해 행동이 결정되는 경우가 많으며, 특히 여학생들의 경우 부모님의 기대와 훈계에 민감하기 때문인 것으로 분석할 수 있다.
‘꿈 및 목표 달성을 위해’란 답도 전 그룹에서 높게 나타났다. 이 대답의 부연설명으로 ‘우리나라는 학력중시 사회이기 때문에 내 꿈을 이루고 행복하게 살기 위해서는 시험을 잘 보아야 한다.’와 같은 대답을 하였다. 이는 ‘사회적으로 인정받기 위해서’라는 대답과 맥락을 함께 한다. 고등학교 남학생 그룹을 제외하고 6~10%의 학생들이 ‘시험을 못 보면 사회적으로 무시를 당한다.’거나 ‘우리나라는 시험 성적이 좋아야 인정받는다.’고 답했다. 학생들이 우리나라의 학력 주의 사회 풍토를 체감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중학생들의 경우에는 ‘물질적인 보상’ 때문이라는 대답도 소수 있어, 시험이 ‘대학진학’, ‘꿈 성취’, ‘인정’, ‘보상’ 등을 위한 목적적 수단으로 인식되고 있음을 다시 한 번 확인 할 수 있었다.
‘성취감 및 만족감’을 위해서라는 답변도 중학교 남학생 10%, 중학교 여학생 13%, 고등학교 여학생 12%로 나타나, 내재적 동기로 인해 학습하는 학생들이 약 10% 정도 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하지만 부연설명을 보면 교과에 대한 이해 및 지식이 증가하여 학습에 대한 성취감을 느낀다는 대답보다, 시험 성적 결과에 대한 만족감, 성취감 등을 기술하여 학생들이 진정한 학습 성취의 기쁨을 느끼는 것으로 생각되지는 않는다. 시험의 개선으로 학습에 대한 내재적 동기가 활성화되고, 시험은 자신의 실력을 평가하는 즐거운 일이 될 수 있었으면 한다.

설문 4. 시험을 잘 보려고 노력하는 이유는 무엇인가요?




본문내용
. 평가 결과 위주의 교육 현실은 학력을 중시하는 사회적 풍토와 어우러져 공교육을 비정상적인 방향으로 이끌고 있다. 전인교육을 표방해야 할 학교 교육은 입시 결과를 최우선의 목표로 두고 입시교육에 매진하는 현실이다. 학생들은 시험에 대한 큰 불안과 부담을 느끼게 되었고 이로 인한 사회문제도 발생한다. 즉, 이론에서 표방했던 평가의 의의와 실제 학생들이 생각하는 시험(평가) 사이의 괴리감은 점차 커지고 있다.
중, 고등학교에서 교육실습을 하면서 학생들과 면담을 해 보니 대부분의 학생들이 진학과 시험 성적에 관한 고민을 토로했다. 한국청소년상담원의 조사 한국청소년상담원, 2003, 『청소년 상담문제 연구보고서(우리 청소년, 어디로 가고 있는가? 청소년의 삶과 고민-10년의 변화)』, 서울: 한국청소년상담원


참고문헌
황정규, 1984, 『학교학습과 교육평가』, 교육과학사.
곽병선, 1998, 「교육과정과 교육평가의 연계방안」, 교육과정연구, Vol. 16, No 2.
김양분, 1977, 「열린 교육의 평가」, 연구월보(통권 270호). 전라북도 교육연구원
백순근, 1977,「열린교육을 위한 현행 교육평가의 문제점과 대책」, 연구월보(통권 20호), 전라북도 교육연구원
이동원, 1997, 「교육개혁에 적응하는 교육평가의 방향 탐색」, 교육학논총, Vol. 18.
이상기, 1998, 「교육평가 개선에 관한 기초연구」, 인간교육연구, Vol. 5, No 1.
한국청소년상담원, 2003, 『청소년 상담문제 연구보고서(우리 청소년, 어디로 가고 있는가?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