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한류에 대한 일반적 정리 2.한류의 구체적 사례 3.한류의 긍정적 측면 4.한류의 부정적
측면 5.지속가능한 한류를 위한 제언
본문 문화의 지역화 현상 확산
한 지역의 문화와 정서를 담은
컨텐츠가 그 지역에서 더 인기있는 문화의 지역화 현상 확산 소비자들이 유사한 문화에 대해 친근감을 느끼는 문화의 근접성에서
연유 한류는 이러한 문화의 근접성으로 인해 나타나는 현상 중 하나라는 주장도 있음
문화 전파 수단의 확산 아시아 지역
내에서 위성TV, 케이블TV 등 다채널 뉴미디어의 등장으로 컨텐츠 수요 증가 컨텐츠를 디지털화하여 빠르게 전파시킬 수 있는 IT인프라는
우수한 진입장벽 역할
1992년 수교 이후 여명의 눈동자, 질투 등이 중국에서 방영
1997년 사랑이 뭐길래의 폭발적인
인기가 한류를 촉발 상업성이 지나치게 짙은 서양, 홍콩의 드라마에 대한 반감 순수한 사랑, 가족간의 끈끈한 정을 주제로 한 것이
중국인들의 공감을 얻음
이후 별은 내가슴에, 토마토 드라마가 초기 한류 이끎 HOT, 클론 등의 대중가수도 초기 한류
확산에 기여
드라마, 영화, 음악 등 다양한 한국 문화 컨텐츠와 스타에게 매료되는 단계 한국의 미약한 세계 인지도 향상
기회 새로운 수요시장 개척을 위한 사전 작업 가능
촬영지 관광, DVD, 캐릭터 상품 등 문화 컨텐츠 및 스타와 직접
연계된 상품 구매 단계
한류의 원천인 문화 컨텐츠 자체에 대한 수출이 증가됨
문화 컨텐츠의 부가상품인 OST,
DVD, 서적 등의 수출 증가 : 겨울연가의 경우 만들어진 유무형 상품 종류 200여 개, 부가가치 1800억 원 형성
각종 드라마와 영화 촬영지를 방문하기 위한 한국 방문으로 관광 수입 증대 : 남이섬의 경우 겨울연가 이전 일본 관광객
4000여명에서 이후 11만명 수준으로 증가 대장금의 영향으로 대만에서 한국 관광의 관심 고조, 단절된 항공노선의 재개
성과
문화/오락 서비스 업의 고용효과가 증대 : 문화/오락 서비스 업의 취업자 수 증가율은 연평균 6.5%로 높은 수준을
나타냄
본문내용 위한 제언
General Information Cases of
Hallyu Positive aspects Negative aspects Epilogue Globalization :
Hallyu 한류란 무엇인가? 3 한류(韓流)란 아시아 권에서 일고 있는 한국 대중문화에 대한 관심을 의미 1999년 중반
중국의 언론매체에서 처음 사용 국내에서는 2000년 2월 HOT의 중국 공연을 계기로 본격적 사용 최근의 한류는 대중문화에 대한
열광에서 한국 자체를 선호하는 현상으로 발전 한류를 해외에서 나타나고 있는 ‘한국 선호 현상’으로 이해할 필요성
General
Information Cases of Hallyu Positive aspects Negative
aspects Epilogue Globalization |
댓글 없음:
댓글 쓰기